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순부(純夫)@최성지 - 최성지(崔誠之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제2차 입성책동(立省策動) 때 원(元) 나라의 도성(都省)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. 수시력(授時曆)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, 찬성사(贊成事) 등을 지냄.
1265~1330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순부(純夫)@유숙 - 유숙(柳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기철(奇轍)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(安社功臣)에 책록되고,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(忠勤節義贊化功臣)이 된 뒤 서령군(瑞寧君)에 봉해짐.
1324~1368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덕산ㅣ전라도>영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순부(純夫) - 양성지(梁誠之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남원(南原). 집현전(集賢殿)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홍문관 대제학(弘文館大提學) 등을 지냄. 《고려사(高麗史)》ㆍ《동국여지승람(東國輿地勝覽)》등을 편찬함.
1415~148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순부(純父) - 홍숙(洪淑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으로 공조 참의(工曹參議) 홍서주(洪敍疇)의 아버지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가담하여 추성정난공신(推誠定難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작서지변(灼鼠之變)에 연루되어 삭직된 뒤 과천(果川)으로 추방됨.
1464~153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순붕(順朋) - 정순붕(鄭順朋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을사사화 때 소윤(小尹)으로서 대윤(大尹)을 제거하는 데 적극 가담하여 보익공신(保翼功臣)에 책록되고 우의정까지 올랐으나, 선조(宣祖) 때 관작이 모두 추탈(追奪)됨.
1484~154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순비(順妃) - 순비허씨(順妃許氏)
고려 제26대 충선왕(忠宣王)의 제6비. 공암허씨(孔巖許氏)로 첨의중찬(僉議中贊) 허공(許珙)의 딸. 평양공(平陽公) 왕현(王眩)에게 출가하여 3남 4녀를 낳고 사별한 후, 충선왕에게 재가함. 충선왕과의 사이에는 자녀가 없음.
1271~1335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순생(順生) - 조순생(趙順生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개국공신(開國功臣) 조인옥(趙仁沃)의 손자로, 병조 참의(兵曹參議)를 지냈으나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안평대군(安平大君)의 일파로 몰려 죽음.
?~145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순생(順生)@이순생 - 이순생(李順生)
조선 전기의 문인. 본관은 합천(陜川)으로, 호조 참판(戶曹參判)을 지낸 이윤검(李允儉)의 아버지. 학문을 좋아했으나 벼슬하지 않고, 후에 병조 참판(兵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문인
-
순서(舜瑞) - 어유봉(魚有鳳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종(咸從). 김창협(金昌協)의 문인으로, 1722년(경종 2) 신임사화(申壬士禍) 때 김창협이 화를 당하자 유생들과 함께 변호하다가 파직됨. 세자시강원 찬선(世子侍講院贊善)을 지내고, 저서로 《기원집(杞園集)》 등이 있음.
1672~174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순석(順石) - 양순석(梁順石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상호군(上護軍) 정효충(鄭孝忠)의 사위로, 충청도 관찰사(忠淸道觀察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순선(順善) - 유순선(柳順善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호조 참판(戶曹參判) 유유(柳柔)의 아들이며, 유종선(柳從善)의 형으로, 승정원 승지(承政院承旨)ㆍ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516~157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순선당(順善堂) - 운수(雲叟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승려. 계룡산(鷄龍山) 가섭암(迦葉菴)을 중창(重創)했으며, 그 전말이 서거정(徐居正)의 《사가집(四佳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순성(蓴城) - 태안(泰安)
충청남도 태안반도(泰安半島)의 중간에 위치한 고을 이름.
충청도>태안 , 지명>행정지명
-
순성(順聖) - 원성왕후(元成王后)
고려 제8대 현종(顯宗)의 제3비. 본관은 안산(安山). 김은부(金殷傅)의 딸로,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. 덕종(德宗)ㆍ정종(靖宗) 두 아들과 인평왕후(仁平王后)ㆍ경숙공주(景肅公主) 등을 낳음.
?~1028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순성(順誠) - 김순성(金順誠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공조 참판(工曹參判) 김굉(金硡)의 아버지로, 평양 서윤(平壤庶尹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순성군(順城君)@박이검 - 박이검(朴而儉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형 박이온(朴而溫)과 함께 공을 세워 순성군(順城君)의 작위(爵位)를 받았으며, 벼슬은 공조 판서(工曹判書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순성군(順城君)@이애 - 이개(李𧪚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맏아들인 양녕대군(讓寧大君) 이제(李禔)의 첫째 아들.
?~146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순성군(順城君) - 안원숭(安元崇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 등 요직(要職)을 지내고, 순성군(順城君)에 봉해짐.
1309~?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순성군(順成君) - 이개(李𧪚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맏아들인 양녕대군(讓寧大君) 이제(李禔)의 첫째 아들.
?~146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순성령(順成令) - 이길(李佶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翼陽君) 이회(李懷)의 손자이며, 단천부정(丹川副正) 이수곤(李壽鵾)의 첫 번째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