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금호서원(錦湖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하양(河陽)에 건립한 서원. 1684년(숙종 10) 허조(許稠)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함.
168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하양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금호유고(錦湖遺稿)
조선 전기의 문신 임형수(林亨秀)의 시문집. 2권1책. 외손 유응수(劉應壽)가 유문을 모아 김수항(金壽恒)에게 교정을 받고, 광주 목사(光州牧使)로 있던 이민서(李敏敍)의 도움으로 광주에서 목판으로 간행함.
167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문헌>서명
-
금화(金化)
강원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영동(嶺東)과 영북(嶺北)으로 가는 경유지 역할을 함.
강원도>금화 , 지명>행정지명
-
금회(琴淮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봉화(奉化). 창신교위(彰信校尉)를 지낸 금용화(琴用和)의 아들로, 은진 현감(恩津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관인>문신
-
금휘(琴徽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봉화(奉化). 은진 현감(恩津縣監)을 지낸 금회(琴淮)의 아들로, 1466년(세조 12) 문과에 급제하여 동래 현령(東萊縣令) 등을 지냄.
143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관인>문신
-
금휴포(琴休浦)
충청도 충주 탄금대(彈琴臺) 아래에 있는 시내 이름. 견문산(犬門山) 아래에 있으며, 우륵(于勒)이 가야금을 연주했던 곳으로 전함.
충청도>충주 , 지명>자연지명
-
급고유고(汲古遺稿)
조선 전기의 문신인 이홍남(李洪男)의 문집. 1617년(광해군 9)에 손자 이정신(李廷紳)이 편집 간행함.
1617 한국>조선후기 , 평안도>가산 , 문헌>서명
-
급류용퇴(急流勇退)
송(宋) 나라 전약수(錢若水)에게 한 노승(老僧)이 끝내 신선은 못 되겠지만 벼슬에 연연하지는 않을 사람이라며 '시급류중용퇴인(是急流中勇退人)'이라고 말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, 벼슬 자리에서 기회를 보아 제때에 용기 있게 물러나는 것을 뜻함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급암(汲黯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 때의 문신. 회양 태수(淮陽太守)를 역임하였고, 황로지도(黃老之道)ㆍ무위(無爲)의 정치를 주장함.
?~B.C.112?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급암시집(及菴詩集)
고려 후기의 문신인 민사평(閔思平)의 문집. 문인 이이(李頤)가 경상도 안렴사(慶尙道按廉使)로 부임하여 외손 김구용(金九容)의 선사본(繕寫本)을 판하본(板下本)으로 하여 5권 1책으로 간행함.
1370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기(夔)
중국 고대 요(堯)ㆍ순(舜) 때의 악관(樂官). 요 임금의 음악인 대장(大章)을 만들고, 순 임금 때는 제왕(帝王)과 경대부(卿大夫)의 장자(長子)를 가르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기^대(冀^代)
중국 구주(九州)의 하나인 기주(冀州)와 산서성(山西省)에 속하는 대주(代州)를 함께 부르는 말. 좋은 말이 나기로 유명한 곳을 일컬음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기^두(箕^斗)
이십팔수(二十八宿) 중 기성(箕星)과 두성(斗星)을 함께 부르는 말. 각각 동방과 북방에 자리한 별로, 두 별 사이에 은하(銀河)가 가로놓여 있어 흔히 서로의 거리가 먼 것을 비유함.
자연물>기타자연물
-
기^미(箕^尾)
이십팔수(二十八宿) 중 기성(箕星)과 미성(尾星)을 함께 부르는 말. 은(殷) 나라의 부열(傅說)이 죽어 하늘에 올라 이 두 별자리에 거하였다고 하여 사람의 죽음을 뜻하기도 함.
자연물>기타자연물
-
기^설(夔^卨)
중국 은(殷) 나라의 시조인 설(契)과 요(堯)ㆍ순(舜) 때의 악관(樂官)인 기(夔)를 함께 부르는 말. 순(舜) 임금을 섬긴 두 명신을 일컬음.
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기^신(起^信)
중국 전한(前漢)의 공신인 한신(韓信)과 춘추전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병법가인 오기(吳起)를 함께 부르는 말. 병법에 밝은 사람을 가리킴.
중국>전한ㅣ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기^영(箕^潁)
중국 하남성(河南省)에 있는 기산(箕山)과 영수(穎水)를 함께 부르는 말. 소보(巢父)와 허유(許由)의 고사로 인해 은자와 은둔처의 대명사로 사용됨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기^위(箕^衛)
기자 조선(箕子朝鮮)의 시조인 기자(箕子)와 위만 조선(衛滿朝鮮)의 개조(開祖)인 위만(衛滿)을 함께 부르는 말. 고조선의 두 시조를 일컬음.
고대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기^자(芑^磁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이기(李芑)와 허자(許磁)를 함께 부르는 말. 을사사화(乙巳士禍)를 일으켜 대윤(大尹)을 제거하는 데 앞장선 두 사람을 일컬음.
한국>조선전기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기가(祈嘉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동진(東晉) 때의 은사(隱士)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