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순흥군(順興君)@안당 - 안당(安瑭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우의정ㆍ영중추부사 등을 지냄. 신사무옥(辛巳誣獄)에 연루되어 아들 안처겸(安處謙)ㆍ안처근(安處謹)과 함께 사사(賜死) 되었으나, 명종(明宗) 때 복관됨.
1461~152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순흥군(順興君)@이몽우 - 이몽우(李夢禹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증손인 의천군(義泉君) 이인(李仁)의 맏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순흥군(順興君)@안경량 - 안경량(安敬良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판문하부사(判門下府事)를 지낸 안종원(安宗源)의 아들. 태조(太祖) 때 《향약제생집성방(鄕藥濟生集成方)》 편찬에 참여함.
?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순흥군(順興君)@왕승 - 왕승(王昇)
고려 후기의 종친. 조선 건국 후 왕씨 일족이 유폐될 때, 건국의 공으로 화를 면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순흥부원군(順興府院君) - 안문개(安文凱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안향(安珦)의 재종질(再從姪). 충숙왕이 원(元) 나라에 억류되어 있을 때 충절을 바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되고, 순흥부원군(順興府院君)에 봉해짐.
1273~1338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순흥수(順興守) - 이몽우(李夢禹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증손인 의천군(義泉君) 이인(李仁)의 맏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순희제(淳熙帝) - 효종(孝宗)@송
중국 송(宋) 나라의 제11대 황제. 재위 1162~1189. 장준(張浚)에게 명하여 금(金)을 정벌하려 했지만 실패하자 금과 숙질(叔姪) 관계로 화의(和議)를 맺음. 내정(內政) 개혁을 실시해 강남(江南)의 개발이 진척되어 북송(北宋)을 능가하는 번영을 이룸.
1127~119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술(述) - 조술(曺述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초기 사림파(士林派)의 대표적 인물인 조위(曺偉)의 5대손. 조위의 문집인 《매계집(梅溪集)》의 간행을 추진하고 그 발문(跋文)을 씀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금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술고(述古)@신종원 - 신종원(辛宗遠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산(靈山). 영원 군수(寧遠郡守)를 지낸 신진(辛鎭)의 아들로, 연천 현감(連川縣監)ㆍ호조 좌랑(戶曹佐郞) 등을 지냄.
1551~160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술고(述古)@관술 - 관술(管述)
조선 성종(成宗) 때 김일손(金馹孫)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〈관처사묘지명(管處士墓誌銘)〉의 주인공으로, 관미생(管尾生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술고(述古) - 진양(陳襄)
중국 송(宋) 인종(仁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당시 개혁정치를 펼쳤던 왕안석(王安石)을 귀양 보내고자 하였으나 도리어 폄직됨. 고인들의 언행을 본받고, 가는 곳마다 학교를 세워 민간의 이익을 강구함.
1017~10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술고당(述古堂) - 백민수(白民秀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의병. 본관은 수원(水原). 백인국(白仁國)의 아들로, 경서(經書)와 성리학(性理學)에 조예가 깊음. 임진왜란 때 장인(丈人) 문위세(文緯世)를 도와 의병을 일으켜 장수(長水), 금산(錦山) 등에서 전공을 세움.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되고, 이조 판서(吏曹判書)에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
-
술고재(述古齋) - 김보(金寶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삼택(李三宅)ㆍ오건(吳健)과 교유함. 《덕계집(德溪集)》의 〈덕계선생연보(德溪先生年譜)〉에 환아정(換鵝亭)에서 놀면서 시(詩)를 주고받은 기록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술랑포(述郞浦) - 쌍성호(雙成湖)
강원도 양양(襄陽) 북쪽 간성(杆城) 경계에 있는 호수 이름. 속초(束草)에서 바다로 나가는 지리적인 특수성으로 인해 만호영(萬戶營)을 설치하여 병선(兵船)을 정박시켰으며, 《택리지(擇里志)》에서 관동팔경(關東八景)의 하나로 꼽을 정도로 호수 경치가 훌륭함.
강원도>양양 , 지명>자연지명
-
술미홀(述彌忽) - 파주(坡州)
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1398년(태조 7) 서원(瑞原)ㆍ파평(坡平)을 합하여 원평군(原平郡)이 되고, 1460년(세조 6)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.
경기도>파주 , 지명>행정지명
-
술보(述甫) - 이사윤(李思胤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기한(李基漢)의 아들로, 이기하(李基夏)에게 출계함. 1714년(숙종 40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고, 파주 목사(坡州牧使) 등을 지냄.
1686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술성(述聖)@이계현 - 이계현(李季賢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재령(載寧). 유학 이전(李琠)의 아버지로, 장례원 사의(掌隷院司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재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술성(述聖) - 공급(孔伋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손자. 사서(四書)의 하나인 《중용(中庸)》을 편찬했으며, 증삼(曾參)의 학(學)을 배워 유학의 전승에 힘씀.
B.C.483~B.C.402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술이(述而) - 정승조(鄭承祖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. 1494년(성종 25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감찰(監察)을 지냈으며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장류(杖流)되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술이홀(述爾忽) - 파주(坡州)
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1398년(태조 7) 서원(瑞原)ㆍ파평(坡平)을 합하여 원평군(原平郡)이 되고, 1460년(세조 6)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.
경기도>파주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