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술지(述之) - 임계중(任繼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곡성(谷城). 김안국(金安國)ㆍ김정국(金正國) 등과 교유하고 성균관 사성(成均館司成) 등을 역임하였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연천(漣川)으로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전념함.
1481~154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숭(崧) - 남숭(南崧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1537년(중종 32)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ㅣ경상도>영해 , 인명>관인>문신
-
숭(嵩) - 노숭(盧嵩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고, 참찬의정부사(參贊議政府事)를 거쳐 검교우의정(檢校右議政)에 이르렀음.
1337~141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숭걸(崇傑) - 고숭걸(高崇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고성(高城)으로, 정여창(鄭汝昌)의 문인(門人)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종성 , 인명>문사>학자
-
숭겸(崇謙) - 신숭겸(申崇謙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궁예(弓裔)를 몰아내고 왕건(王建)을 추대하여 고려 건국에 큰 공을 세움으로써 개국일등공신(開國一等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견훤(甄萱)과의 공산전투(公山戰鬪)에서 태조를 구출하고 전사함.
?~927 한국>고려전기ㅣ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곡성ㅣ강원도>춘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숭경(崇慶) - 이숭경(李崇慶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전의(全義). 성균 생원(成均生員) 이정(李頲)의 아들로, 시(詩)와 초서(草書)에 뛰어났으며, 박순(朴淳)ㆍ임억령(林億齡)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.
1510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문인
-
숭경(崇敬) - 귀숭경(歸崇敬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~덕종(德宗) 때의 문신. 공부 시랑(工部侍郞)을 지낸 귀등(歸登)의 아버지로, 병부 상서(兵部尙書)를 지냄. 저서로 《귀숭경집(歸崇敬集)》등이 있음.
712~79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숭경왕태후(崇敬王太后) - 명덕태후(明德太后)
고려 제27대 충숙왕(忠肅王)의 비. 본관은 남양(南陽). 남양부원군(南陽府院君) 홍규(洪奎)의 딸로, 충혜왕(忠惠王)과 공민왕(恭愍王)을 낳았으며, 공민왕이 즉위하여 대비(大妃)에 오름.
1298~1380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ㅣ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숭고(嵩高) - 숭산(嵩山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등봉현(登封縣) 북쪽에 있는 산. 중국 오악(五嶽)의 하나로 방위상 중앙에 위치하며, 남북조시대부터 종교와 문화의 중심지로 유명하였고, 소림사(少林寺) 등의 사찰이 있음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숭공(崇功) - 마계조(馬繼祖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1490년에 진사(進士)에 입격해 남경감찰어사(南京監察御史)에 제수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숭덕(崇德) - 이윤경(李潤慶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명종 때 대윤(大尹) 세력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(保翼功臣)에 책록되었고, 을묘왜변(乙卯倭變) 때 완산 부윤(完山府尹)으로서 왜구를 방어하였으며, 병조 판서 등을 역임함.
1498~1562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숭덕재(崇德齋) - 이윤경(李潤慶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명종 때 대윤(大尹) 세력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(保翼功臣)에 책록되었고, 을묘왜변(乙卯倭變) 때 완산 부윤(完山府尹)으로서 왜구를 방어하였으며, 병조 판서 등을 역임함.
1498~1562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숭덕태후저씨(崇德太后褚氏) - 강헌저황후(康獻褚皇后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동진(東晉) 효무제(孝武帝)의 황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숭두(崇杜) - 임숭두(林崇杜)
조선 전기의 문신. 노우명(盧友明)의 사위로, 찰방(察訪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숭령(崇齡) - 조숭령(趙崇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홍주(洪州). 순천부 교수(順天府敎授)를 지낸 조지종(趙之琮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사마 양시(司馬兩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 , 인명>문사>유학
-
숭례(崇禮) - 권숭례(權崇禮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으로 책록된 권충(權衷)의 아들로, 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숭로(崇老) - 김숭로(金崇老)
조선 전기의 문신. 충청도 찰방(察訪)을 지냈으며, 서거정(徐居正)이 써 보낸 송시(送詩)들이 《사가집(四佳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숭릉(崇陵) - 현종(顯宗)@조선
조선 제18대 왕. 재위 1659~1674. 효종(孝宗)의 맏아들로, 어머니는 인선왕후(仁宣王后). 대동법(大同法) 시행ㆍ동철활자(銅鐵活字) 주조 등의 개혁이 있었으나, 예론(禮論)을 둘러싼 남인(南人)ㆍ서인(西人) 간의 당쟁으로 인해 국력이 피폐됨.
1641~1674 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왕실>국왕
-
숭망(嵩邙) - 북망산(北邙山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낙양(洛陽) 북쪽에 있는 산. 이 지역은 대대로 여러 나라의 도읍이었으므로 역대 제왕과 명인들의 무덤이 많아, 전하여 사람의 죽음을 뜻하는 말로 쓰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숭명부(崇明府) - 명의태후(明懿太后)
고려 제15대 숙종(肅宗)의 비(妃). 본관은 정주(貞州). 문하시랑 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 유홍(柳洪)의 딸로, 예종(睿宗)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.
?~1112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