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승(昇)@이승 - 이승(李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이연손(李延孫)의 아버지. 전농판관(典農判官)을 지내고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승(昇)@강승 - 강승(姜昇)
조선 세종(世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. 봉서사(鳳棲祠)에 배향됨.
1430~150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문사>학자
-
승(昇) - 왕승(王昇)
고려 후기의 종친. 조선 건국 후 왕씨 일족이 유폐될 때, 건국의 공으로 화를 면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승(昇)@전승 - 전승(全昇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천안(天安). 충렬왕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인 전신(全信)의 아버지로, 병조 상서(兵曹尙書) 등을 지냄.
?~1302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천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승(昇)@권승 - 권승(權昇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어모장군(禦侮將軍) 권확(權確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가산을 털어 관군(官軍)을 도운 공으로 가선대부(嘉善大夫)의 품계를 받았으나, 변함없이 검소한 생활을 함.
1537~1599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승(陞) - 유승(柳陞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문화군(文化君) 유인기(柳仁奇)와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을 지낸 유돈(柳墩)의 아버지. 동지밀직사사(同知密直司事)ㆍ도첨의참리(都僉議參理)를 지냈으며, 저서로 《신의(新儀)》가 있음.
1248~1298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승간(承侃) - 박승간(朴承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1540년(중종 35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성균관 사성(成均館司成)을 지냄.
1508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승감(承堪) - 여승감(呂承堪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조위(曺偉)ㆍ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승개(承漑) - 전승개(田承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산(禮山)으로, 고령 현감(高靈縣監)을 지낸 전실(田實)의 아들. 1517년(중종 12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예빈시 정(禮賓寺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승건(承乾) - 혜종(惠宗)
고려 제2대 왕. 재위 943~945. 태조(太祖)의 맏아들로, 어머니는 장화왕후(莊和王后). 지용(智勇)이 뛰어나 후백제(後百濟)를 칠 때 큰 공을 세웠으나, 즉위 후에는 왕권이 미약하여 왕규(王規)에게 암살 위협을 당하기도 함.
914~945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승건(承健) - 박승건(朴承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진사(進士) 박형(朴珩)의 아들. 선조(宣祖) 때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소고(嘯皐) 박승임(朴承任)의 형으로, 찰방(察訪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승건(承健)@이승건 - 이승건(李承健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우봉(牛峰)으로, 이기(李圻)의 아들.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고, 두 차례 사신으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, 동지의금부사(同知義禁府事) 등을 지냄.
1452~1502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우봉 , 인명>관인>문신
-
승경(升卿)@이원진 - 이원진(李元鎭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광해군(光海君) 때 인목대비(仁穆大妃) 폐모론에 반대하여 이원익(李元翼) 등과 귀양갔다가 인조반정 후 풀려남. 효종(孝宗) 때 제주 목사(濟州牧使)로 하멜 등 표류한 네덜란드인들을 서울로 압송하고, 《탐라지(耽羅志)》를 편수함.
1594~166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승경(升卿) - 이지(李墀)@이원의아들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좌의정 이원(李原)의 아들로, 승문원 참교(承文院參校)를 지냄.
1420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승경(升卿)@김승경 - 김승경(金升卿)
조선 단종(端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김신민(金新民)의 아들로,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좌되어 부관참시(剖棺斬屍)의 추형(追刑)을 당하였음.
1430~149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승경(承卿) - 원순조(元順祖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음서(蔭敍)로 충순위(忠順衛)가 되었고 보공장군(保功將軍)에 이르렀으나,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치사하고 물러남.
1469~1536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승경(承慶)@윤승경 - 윤승경(尹承慶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예빈시 별좌(禮賓寺別坐) 윤홍언(尹弘彦)의 아들이며 좌참찬(左參贊) 윤승길(尹承吉)의 형으로, 종부시 정(宗簿寺正)ㆍ춘추관 편수관(春秋館編修官) 등을 지냄.
1523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승경(承慶) - 심승경(沈承慶)
고려 말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좌명공신(佐命功臣) 심귀령(沈龜齡)의 아버지로, 전농시 사(典農寺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승경(承慶)@함승경 - 함승경(咸承慶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조선 개국공신(開國功臣) 함부림(咸傅霖)의 아버지로, 검교 중추원학사(檢校中樞院學士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승경(承敬) - 김승경(金承敬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부사(府使) 김정신(金鼎臣)의 아버지로,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