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승교(承敎) - 배승교(裵承敎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대구(大丘). 승문원 교리(承文院校理) 배숙기(裵淑綺)의 아버지로, 전연사 봉사(典涓司奉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승권(承權) - 한승권(韓承權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청원위(淸原尉) 한경록(韓景祿)의 아버지. 안변 부사(安邊府使)ㆍ춘천 부사(春川府使) 등을 지냄. 1545년(명종 즉위년)에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승길(承吉) - 윤승길(尹承吉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윤홍언(尹弘彦)의 아들이며, 인성군(仁城君) 이공(李珙)의 장인.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, 의정부 좌참찬(議政府左參贊) 등을 지냄.
1540~161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승단(升旦) - 유승단(兪升旦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몽고(蒙古)의 침략을 피하기 위해 강화(江華)로 천도하려는 최우(崔瑀)의 계획에 반대함. 경사(經史)에 조예가 깊고 불전(佛典)에도 능통했음.
1168~123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인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승달(承達) - 공승달(孔承達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창원(昌原). 중종(中宗) 때 정언(正言)과 좌랑(佐郞) 등을 지낸 공상린(孔祥麟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승도(承渡) - 이승도(李承渡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서원(西原). 의곡(義谷) 이방직(李邦直)의 아들로, 삼사 좌윤(三司左尹)을 지냄. 공민왕(恭愍王)으로부터 이름에 대한 어찰(御札)을 받았으며, 권근(權近)이 지은 명찬(名讚)이 《양촌집(陽村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승두(升斗) - 주(酒)
술.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(總稱). 전설상에 두강(杜康)과 의적(儀狄)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.
물품>식약품>음료
-
승람(勝覽) - 동국여지승람(東國輿地勝覽)
조선 성종(成宗) 때 《팔도지리지(八道地理志)》에 우리나라 문사(文士)들의 시문(詩文)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(官撰地理書). 50권.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.
14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승려(承呂) - 이승려(李承呂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양성(陽城). 이온(李蒕)의 셋째 아들이고, 이승소(李承召)ㆍ이승주(李承周)의 아우로, 현감(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승례(承禮) - 윤승례(尹承禮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영평군(鈴平君) 윤척(尹陟)의 다섯째 아들이며, 세조비(世祖妃)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조부로, 판도 판서(版圖判書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승로(承老)@최승로 - 최승로(崔承老)
고려 태조(太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학문이 뛰어나 일찍이 문병(文柄)으로서 문장과 학문계통의 관직생활을 함. 성종 때 시무(時務) 28조를 올려 국가체재 정비에 공헌하고, 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냄.
927~989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승로(承老) - 조승로(曺承老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시정(寺正)을 지낸 조숙(曺淑)의 아버지로, 사맹(司猛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무신
-
승류(承柳) - 윤승류(尹承柳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세종(世宗)의 부마(駙馬)인 윤사로(尹師路)의 손자이며, 성종(成宗)의 부마인 윤섭(尹爕)의 아버지로, 사복시 정(司僕寺正) 등을 역임함.
1475~150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승륜(承倫) - 박승륜(朴承倫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진사(進士) 박형(朴珩)의 아들. 선조(宣祖) 때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소고(嘯皐) 박승임(朴承任)의 동생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승리(承李) - 박승리(朴承李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죽산(竹山). 풍산 만호(豐山萬戶) 박원지(朴元智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승명(承命) - 안승명(安承命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廣州).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을 지낸 안용(安容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승문(承文) - 백승문(白承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대구(大邱). 백양규(白良圭)의 아버지로, 군위 훈도(軍尉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승문(承文)@박승문 - 박승문(朴承文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반남(潘南). 선조(宣祖) 때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박승임(朴承任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승방(承芳) - 양계종(楊繼宗)
중국 명(明) 나라 영종(英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성품이 강직하고 청렴하여 중관(中官) 및 제신(諸臣) 들의 탐오와 비리를 지적하였으므로 고관들의 미움을 받았으며, 좌첨도어사(左僉都御史) 등을 역임함.
?~148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승백(升伯) - 고천준(顧天埈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1602년(조선 선조 35) 한림원 시강(翰林院侍講)으로서 황태자 책립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행인사 행인(行人司行人) 최정건(崔廷健)과 함께 조선에 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