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승범(承范) - 이도종(李道宗)
중국 당(唐) 나라의 종친. 고조(高祖)의 당질(堂侄)로, 17세부터 태종(太宗) 이세민(李世民)을 도와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, 태상경(太常卿) 등을 역임함.
600~65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승변(僧辯) - 왕승변(王僧辯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무신. 후경(侯景)의 난을 평정하고 뒤에 영녕군공(永寧郡公)에 봉해짐.
?~555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승복(承復) - 정승복(鄭承復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정내(鄭鼐)의 아들로, 중종 때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(宣傳官)에 뽑혔으며, 을묘왜변(乙卯倭變) 때 전공(戰功)을 세워 함흥 판관(咸興判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무신
-
승상(升商) - 이승상(李升商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달충(李達衷)의 손자로, 제2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을 평정하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역임함.
?~141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승상(承常) - 이승상(李承常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장양부정(長陽副正) 이주(李儔)의 아들이자 이조 참판(吏曹參判) 이식(李拭)의 아버지로, 1528(중종 2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 죽산 현감(竹山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서(承緖)@윤승서 - 윤승서(尹承緖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지낸 윤홍언(尹弘彦)의 셋째 아들로, 교하 현감(交河縣監) 등을 지냄.
1544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서(承緖) - 신승서(申承緖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으로, 신흠(申欽)의 아버지. 1558년(명종 1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, 구례 현감(求禮縣監)ㆍ개성부 도사(開城府都事) 등을 지냄.
1531~157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석(承碩) - 김승석(金承碩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청주 목사(淸州牧使) 김흠(金欽)의 아버지이고, 동래 부사(東萊府使) 송상현(宋象賢)의 장인. 전력부위(展力副尉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승선(僧選) - 승과(僧科)
고려 광종(光宗) 9년에 시작되어 조선 전기까지 승려에게 실시한 과거(科擧). 1565년(명종 20) 도첩제(度牒制)가 폐지되면서 승과도 혁파됨.
958 한국>고려전기 , 법제>제도
-
승선(承先) - 채승선(蔡承先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평강(平康). 대사헌(大司憲) 채침(蔡忱)의 아들. 이른 나이에 시험에서 여러 번 수석을 했지만 과거를 포기하고 시주(詩酒)로 여생을 즐김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승선(承善)@유승선 - 유승선(柳承善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음 현감(江陰縣監)을 지낸 유정(柳貞)의 아들로, 1546년(명종 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(海州牧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선(承善) - 신승선(愼承善)
조선 단종(端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거창(居昌).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(翊戴功臣) 등에 책록됨.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,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의 편찬을 주관함.
1436~150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승선암(昇仙巖) - 승선암(乘仙巖)
황해도 해주(海州) 수양산(首陽山)에 있는 바위 이름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가 찾아가 시를 읊은 곳임.
황해도>해주 , 지명>자연지명
-
승선원(承宣院) - 승정원(承政院)
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. 국왕과 밀착되어 중추적인 정치기구의 역할을 하였으며, 승선원(承宣院)ㆍ비서감(秘書監)ㆍ비서원(秘書院)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07년에 폐지됨.
한국>조선시대 , 서울 , 법제>관청
-
승선원일기(承宣院日記) - 승정원일기(承政院日記)
조선시대에 승정원(承政院)에서 매일 취급한 문서(文書)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. 원래 조선 개국 초부터 일기가 있었으나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에 소실되어 1623년(인조 1)부터 1894년(고종 31)까지 270여 년간의 일기만이 현존함.
한국>조선시대 , 서울 , 문헌>서명
-
승성자(乘成子) - 정경세(鄭經世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유성룡(柳成龍)의 문인으로, 대제학(大提學)을 지냄.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(李滉)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,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.
1563~163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승세(承世) - 윤승세(尹承世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영의정 윤필상(尹弼商)의 손자이고, 호조 참의(戶曹參議) 윤간(尹侃)의 맏아들이며, 영원위(鈴原尉) 윤내(尹鼐)의 아버지로, 선산 부사(善山府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승소(承召) - 이승소(李承召)
조선 태종(太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성(陽城). 좌참찬(左參贊) 등을 지내고, 성종 때 신숙주(申叔舟) 등과 함께 《국조오례의(國朝五禮儀)》를 편찬함. 당대의 문장가로 예악(禮樂)ㆍ음양(陰陽)ㆍ율력(律曆) 등 여러 방면에 조예가 깊음.
1422~148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손(承孫)@1474 - 이승손(李承孫)@1474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(敬寧君) 이비(李裶)의 손자이며, 모양군(牟陽君) 이직(李稙)의 아들.
1474~151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승손(承孫)@1394 - 이승손(李承孫)@1394
조선 태종(太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세종(世宗) 때 북변(北邊)의 이만주(李滿住)를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, 세조 때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의정부 우찬성(議政府右贊成) 등을 역임함.
1394~146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