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기건(奇虔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학행으로 이름이 높아 세종 때 포의(布衣)로 발탁되어 지평(持平)에 제수됨. 수양대군(首陽大君)이 단종(端宗)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르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끝까지 절개를 지킴.
?~146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기경례(奇敬禮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행주(幸州).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 기대정(奇大鼎)의 둘째 아들로, 1591년(선조 24) 식년시(式年試) 생원과(生員科)에 입격함.
1557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기경인(奇敬仁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행주(幸州).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 기대정(奇大鼎)의 첫째 아들로, 1573년(선조 6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545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기곡면(錡谷面)
전라남도 담양(潭陽)에 있는 옛 고을 이름. 조선 전기의 문인(文人) 송순(宋純)의 고향.
전라도>담양 , 지명>행정지명
-
기관(奇琯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황후(奇皇后)의 조부로, 삼사우사 상장군(三司右使上將軍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무신
-
기괄(奇适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지낸 기찬(奇襸)의 셋째 아들이자 기묘명현(己卯名賢)의 한 사람인 기준(奇遵)의 형으로, 지평(持平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기대복(奇大復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행주(幸州).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기형(奇逈)의 아들이며, 충청 감사(忠淸監司) 기령(奇笭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유학
-
기대승(奇大升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(四端七情)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.
1527~157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ㅣ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기대유(奇大有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기효간(奇孝諫)ㆍ기효근(奇孝謹)의 아버지. 고봉(高峰) 기대승(奇大升)의 사촌이며 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함. 진용교위(進勇校尉)에 올랐고 고흥군(高興君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무신
-
기대정(奇大鼎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음보(蔭補)로 강릉 참봉(康陵參奉)이 되었고, 품계를 뛰어 넘어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과 장령(掌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기대항(奇大恒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응교를 지낸 기준(奇遵)의 아들. 권신 이량(李樑)이 사화(士禍)를 일으키려 하자, 이량의 죄상을 폭로하여 그 무리를 모두 귀양가게 함.
1519~156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기령(奇苓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기대복(奇大復)의 아들이며, 이정(李楨)의 외사촌 동생. 1568년(선조 1) 증광시(增廣試)에 급제하여 충청 감사(忠淸監司)를 역임함.
1537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기로당상(耆老堂上)
조선시대에 기로소(耆老所)에 소속된 70세가 넘은 정2품 이상의 문신(文臣)들을 일컫는 말. 이들은 나라의 원로로서, 명절이나 국가적 경사, 왕의 행차 때 함께 모여서 하례(賀禮)를 행하거나, 중요한 국사(國事)의 논의에 참여하여 왕의 자문에 응하기도 함.
한국>조선시대 , 법제>제도
-
기로소(耆老所)
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(文臣)들을 예우(禮遇)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.
1394 한국>조선시대 , 법제>관청
-
기린각(麒麟閣)
중국 한(漢) 나라 무제(武帝) 때 장안(長安)의 미앙궁(未央宮) 안에 세웠던 전각(殿閣)의 이름. 선제(宣帝) 때 곽광(霍光)ㆍ소무(蘇武) 등 11인의 공신(功臣) 초상을 이곳에 걸었던 데서, 공신각(功臣閣)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.
중국>전한 , 중국 , 유적>건물>궁궐
-
기린굴(麒麟窟)
평안도 평양(平壤) 대동강(大同江) 가의 부벽루(浮碧樓) 아래 있는 굴 이름. 고구려의 동명왕(東明王)이 이곳에서 기린을 타고 승천했다는 전설이 전해짐.
평안도>평양 , 지명>자연지명
-
기묘(己卯)
육십갑자(六十甲子)의 열여섯째 간지(干支). 기묘해에 일어난 일에 관련하여 기묘사화(己卯士禍)ㆍ기묘명현(己卯名賢) 등의 말이 파생함.
시간>간지
-
기묘당적(己卯黨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정국(金正國)이 기묘사화(己卯士禍)에 화를 입은 여러 명신(名臣)의 사적을 기록한 서책. 조광조(趙光祖)ㆍ김정(金淨) 등 94명을 수록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기묘당적보(己卯黨籍補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인인 안로(安璐)가 기묘사화(己卯士禍)에 관련된 인물 및 사건을 기록한 저서. 후에 이정형(李廷馨)이 〈황토기사(黃兎記事)〉를 정리할 때 저본이 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기묘명현(己卯名賢)
1519년(중종 14)에 일어난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화를 입은 사림(士林)들을 일컫는 말. 대부분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(門人)들로, 중종 때 개혁정치를 주도한 젊은 소장파 인물들이 주축을 이룸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집단>기타집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