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승수(僧秀) - 신수(神秀)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북종선(北宗禪)의 조사(祖師). 동산사(東山寺)의 오조(五祖) 홍인(弘忍) 선사(禪師)에게 수학하고, 무후(武后)ㆍ중종(中宗)ㆍ예종(睿宗) 3대에 걸쳐 국사(國師)를 지냄. 낙양(洛陽)의 천공사(天空寺)에서 입적함.
605~70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승수(承洙) - 문승수(文承洙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개령(開寧). 문세욱(文世郁)의 아들로, 1573년(선조 6) 식년시에 급제하여 현감(縣監)을 지냄.
1525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옥구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수(承須) - 이승수(李承須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산(陽山). 진사(進士) 이강(李絳)의 아들로, 1516년(중종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성균관 직강(成均館直講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숙(承肅) - 조승숙(趙承肅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함안(咸安)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으로 감무(監務) 등을 지내고, 조선 개국 후 고향에 은거하여 후진양성에 전념함. 두문동칠십이현(杜門洞七十二賢) 중의 한 사람.
1357~1417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승순(承舜) - 한승순(韓承舜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첨지중추원사(僉知中樞院事) 한서귀(韓瑞龜)의 아버지로, 중추원 부사(中樞院副使) 등을 지냄.
?~144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순(承順) - 유승순(柳承順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인 유성원(柳誠源)의 형이자, 이조 정랑(吏曹正郞)을 지낸 유계분(柳桂芬)의 아버지로, 참의(參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순(承順)@윤승순 - 윤승순(尹承順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무신. 윤척(尹陟)의 아들로, 공민왕 때 신돈(辛旽)을 살해하려던 일이 누설되어 유배됨. 창왕(昌王) 때 권근(權近)과 함께 명(明)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, 판개성부사(判開城府事) 등을 지냄.
?~1392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승시(僧試) - 승과(僧科)
고려 광종(光宗) 9년에 시작되어 조선 전기까지 승려에게 실시한 과거(科擧). 1565년(명종 20) 도첩제(度牒制)가 폐지되면서 승과도 혁파됨.
958 한국>고려전기 , 법제>제도
-
승시(勝始) - 공감(孔戡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공잠보(孔岑父)의 아들로, 공자(孔子)의 38대 손(孫). 대리평사(大理評事)를 지냈으며, 사훈원외랑(司勳員外郞)에 추증되었음. 한유(韓愈)가 지은 묘지(墓誌)가 있음.
754~81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약(承爚) - 박승약(朴承爚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밀원부원군(密原府院君) 박건(朴楗)의 아들로, 한림(翰林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언(承彦)@박승언 - 박승언(朴承彦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1530년(중종 25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황해도(黃海道) 평산(平山)에 우거(寓居)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승언(承彦) - 이승언(李承彦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김굉필(金宏弼)과 함께 김종직(金宗直)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, 한성부 참군(漢城府參軍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왕(僧王) - 보우(普雨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승려. 금강산 마하연암(摩訶衍庵)에서 참선(參禪)하고 경학(經學)을 연구했으며, 문정왕후(文定王后)의 신임을 얻어 봉은사(奉恩寺) 주지(主持)가 됨. 선교 양종(禪敎兩宗)을 부활시켰으며, 도첩제(度牒制)에 의한 승과(僧科)를 설치함.
1509~156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승요(僧繇) - 장승요(張僧繇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문신ㆍ화가. 우군 장군(右軍將軍)ㆍ오흥 태수(吳興太守) 등을 지내고, 산수(山水)와 불화(佛畵)에 뛰어남. 절의 단청으로 그린 용에 눈동자를 그리자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는 ‘화룡점정(畫龍點睛)’의 고사가 전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승용(承用) - 김승용(金承用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상락군(上洛君) 김후(金厚)의 아버지로, 내부령(內府令)을 지냄. 1328년(충숙왕 16) 성절사(聖節使)가 되어 원(元) 나라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죽음. 청렴하기로 유명함.
?~1329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원(承元) - 이승원(李承元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이천 도호부사(利川都護府使)를 지낸 이유온(李有溫)의 아버지. 선전관(宣傳官)ㆍ공조 낭관(工曹郞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삼가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원(承元)@박승원 - 박승원(朴承元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 박건(朴乾)의 아들이며 박하담(朴河淡)ㆍ박하청(朴河淸)ㆍ박하징(朴河澄)의 아버지로, 충순위 부사직(忠順衛副司直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무신
-
승원(承源) - 정승원(鄭承源)
고려 말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판사복시사(判司僕寺事)를 지낸 정해(鄭諧)의 아버지로, 예문관 응교(藝文館應敎)ㆍ지제고(知制誥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승원제(昇元帝) - 열조(烈祖)
중국 오대십국(五代十國) 남당(南唐)의 초대 황제. 재위 937~943. 오(吳) 나라 효무제(孝武帝)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(徐溫)의 양자로, 예제(睿帝)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. 화북(華北)의 오대(五代)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.
888~943 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승유(僧孺) - 우승유(牛僧孺)
중국 당(唐) 나라 목종(穆宗) 때의 문신. 고공원외랑(考功員外郞) 등을 지내고, 목종의 신임을 받아 재상이 됨. 이종민(李宗閔)과 붕당(朋黨)을 만들어 이덕유(李德裕) 일파와 정쟁을 벌임.
779~847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