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기묘사화(己卯士禍)
조선 중종(中宗) 14년에 반정공신(反正功臣)의 위훈삭제(僞勳削除) 문제가 계기가 되어 신진사류(新進士類)가 훈구파(勳舊派)에게 화를 당한 사건.
1519 한국>조선전기 , 사건>사화
-
기묘유적(己卯遺蹟)
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(安邦俊)이 중종(中宗) 때 일어난 기묘사화(己卯士禍)의 전말을 적은 책. 필사본. 3권 2책. 기묘사화와 관련된 각종 사건과 여러 인물들의 사적을 집대성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기백(岐伯)
중국 고대 황제(黃帝) 때의 명의(名醫). 황제와 함께 한의학계 내과경전인 《황제내경(黃帝內經)》을 저술했다고 전해짐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의원
-
기벌포(伎伐浦)
금강(錦江) 하구인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(舒川郡) 장항읍(長項邑) 일대로 추정되는 백제 때의 지명. 백제의 국방상 요충지로, 사비성(泗沘城)을 지키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함.
한국>백제 , 충청도>서천 , 지명>자연지명
-
기보(祁保)
중국 명(明) 성조(成祖) 때의 문신. 조선 태조(太祖)가 승하(昇遐)하자 제문(祭文)ㆍ시호(諡號)ㆍ부의(賻儀)를 가지고 사신으로 왔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기봉집(岐峯集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인 백광홍(白光弘)의 시문집(詩文集). 한시(漢詩) 130수와 대표적 가사(歌辭) 작품인 〈관서별곡(關西別曲)〉 등이 실려 있으며, 송사(松沙) 기우만(奇宇萬)이 발문(跋文)을 씀.
1899 한국>근대 , 문헌>서명
-
기사환국(己巳換局)
조선 숙종(肅宗) 15년에 후궁 소의장씨(昭儀張氏)의 소생을 원자(元子)로 정하려는 문제를 기회 삼아 남인(南人)이 서인(西人)을 축출하고 재집권한 사건. 이 사건의 여파로 송시열(宋時烈)은 사사되고, 김수흥(金壽興)ㆍ김수항(金壽恒) 등이 파직됨.
1689 한국>조선후기 , 사건>사화
-
기산(岐山)
중국 섬서성(陝西省)에 있는 산. 주(周) 나라의 기초를 닦은 고공단보(古公亶父)가 이 산 남쪽 기슭에 옮겨와 살며 주실의 본거지로 삼음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기산(箕山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등봉현(登封縣)의 동남쪽에 있는 산. 요(堯) 임금 때의 은자(隱者)인 소보(巢父)와 허유(許由)가 이곳에 숨어 살아 '기산지절(箕山之節)'ㆍ'기산지지(箕山之志)' 등의 고사가 전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기성(箕星)
이십팔수(二十八宿) 중 일곱째 별자리의 별들. 동방에 있으며 키[箕] 모양을 하고 있음.
자연물>천체
-
기성팔경(箕城八景)
평안도 평양(平壤)의 대표적 자연 경승 여덟 가지. 을밀상춘(乙密賞春)ㆍ부벽완월(浮碧玩月)ㆍ영명심승(永明尋僧)ㆍ보통송객(普通送客)ㆍ차문범주(車門泛舟)ㆍ연당청우(蓮塘聽雨)ㆍ용산만취(龍山晩翠)ㆍ마탄춘창(馬灘春漲)을 이름.
평안도>평양 , 지명>자연지명
-
기소유(紀少瑜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 무제(武帝) 때의 문신ㆍ문인. 일찍이 문장 육수(陸倕)로부터 청루 붓을 받는 꿈을 꾼 뒤 문장이 크게 진보되었다고 함. 초서에 능하고, 기실참군(記室參軍) 등을 지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기순(祁順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1476년(조선 성종 7) 조선에 사신으로 왔을 때 접반사(接伴使)로 나간 서거정(徐居正)과 시를 수창하고 서거정의 시재를 높이 평가함. 호부 낭중(戶部郞中)을 지냄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기아(箕雅)
조선 후기의 문신ㆍ문인인 남용익(南龍翼)이 편집하고 간행한 시선집(詩選集). 14권 7책. 신라에서 조선 인조(仁祖) 때까지의 시를 추려 수록함.
1688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기암집(畸庵集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홍명(鄭弘溟)의 시문집. 10권 4책. 목판본. 아들 정리(鄭涖)가 유문을 정리하여 조카 정양(鄭瀁)과 함께 1653년(효종 4)에 간행함.
165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비안 , 문헌>서명
-
기언(記言)
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허목(許穆)의 문집. 원집(原集)과 별집(別集)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허목이 생전에 손수 편차하여 명명(命名)하고 서문(序文)을 씀.
1689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기언정(奇彦鼎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행주(幸州). 고봉(高峯) 기대승(奇大升)의 6대손이며, 덕창군(德昌君) 기정후(奇挺後)의 아들. 대사헌ㆍ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. 《양선생왕복서(兩先生往復書)》를 중간(重刊)함.
1716~179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기열수(紀裂繻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 은공(隱公)의 사위. 《춘추좌씨전(春秋左氏傳)》에 보임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인척
-
기오(祈午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무신. 기해(祈奚)의 아들로, 아버지의 정직한 추천에 의해 중군위(中軍尉)를 지냄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기옹만필(畸翁漫筆)
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정홍명(鄭弘溟)의 수필집(隨筆集). 필사본. 1책. 서인(西人)에 관한 기록이 많으며, 특히 부친인 정철(鄭澈)과 스승인 김장생(金長生)에 대한 글이 많음.
1643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