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기우만(奇宇萬)
근대의 학자ㆍ의병장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정진(奇正鎭)의 손자로 가학을 계승하여 성리학을 연구하였으며, 1895년 이후 의병을 일으켜 일제에 저항함.
1846~1927 한국>근대 , 전라도>장성 , 인명>문사>학자
-
기우집(騎牛集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인 이행(李行)의 시문집(詩文集). 3권 1책. 병자호란 등으로 인해 산일(散佚)된 시문을 후손들이 수집한 끝에 1872년(고종 9)에 밀양(密陽)에서 간행함.
187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문헌>서명
-
기욱(淇奧)
유교 경전(儒敎經典)의 하나인 《시경(詩經)》 〈국풍(國風)〉 〈위풍(衛風)〉의 한 편명(篇名).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 무공(武公)의 덕을 찬미한 내용임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편명
-
기원(奇轅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권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황후(奇皇后)의 오빠로 횡포와 사치를 일삼다가 조일신(趙日新) 일당에게 살해됨.
?~1352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기윤숙(奇允肅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황후(奇皇后)의 고조(高祖)로 성품이 사치스럽고 호장(豪壯)하였다 함.
?~1252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무신
-
기윤헌(奇允獻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(奇大恒)의 손자. 형 기자헌(奇自獻)이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될 때 함께 유배되었으며, 이괄(李适)의 난이 일어났을 때 장살됨.
1575~1624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기의(奇薿)
조선 후기의 문신. 1587년(선조 20) 단양 군수(丹陽郡守)로 있을 때 사헌부(司憲府)로부터 참람함과 공사불명의 죄를 탄핵받아 파직됨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기의헌(奇義獻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행주(幸州). 정묘(丁卯)ㆍ병자(丙子)의 난(亂)에 의병을 일으켰고, 역학ㆍ의학에 밝음. 기우만(奇宇萬)이 작성한 묘갈명(墓碣銘)이 있음.
1587~165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
-
기인걸(奇仁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자오(奇子敖)의 손자로, 군부총랑(軍簿摠郞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기자(箕子)
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(箕子朝鮮)의 시조. 은(殷) 나라의 현인(賢人)으로, 주(周)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기자묘(箕子廟)
전설상 기자조선(箕子朝鮮)의 시조(始祖)인 기자(箕子)를 제향하기 위해 평안남도 평양(平壤)에 세운 묘당(廟堂) 이름.
평안도>평양 , 유적>건물>사당
-
기자오(奇子敖)
고려 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철(奇轍)의 아버지. 음보(蔭補)로 총부산랑(摠部散郞)을 지내고, 원(元) 나라 순제(順帝)의 황후가 된 막내딸 기황후(奇皇后)로 인해 원 나라로부터 영안왕(榮安王)에 추봉(追封)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무신
-
기자지(箕子誌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윤두수(尹斗壽)가 지은 기자(箕子)에 관한 사기(史記). 기자에 관한 사실 및 후인들의 사부제영(辭賦題詠)을 두루 모아 기록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기자헌(奇自獻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(奇大恒)의 손자. 광해군을 즉위시키는 데 공헌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폐모론에 반대하다 문외출송(門外黜送)되었으며, 이괄(李适)의 난이 일어났을 때 사사(賜死)됨.
1562~162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기장(機張)
경상도 동래(東萊)에 있는 고을 이름. 신라 때 갑화양곡현(甲火良谷縣)이라고 하다가 기장으로 변경되었으며, 이 고을에 있는 백운산(白雲山)에 고승 원효(元曉)의 유적(遺跡)이 전함.
경상도>동래 , 지명>행정지명
-
기재기이(企齋記異)
조선 전기의 문인 신광한(申光漢)이 지은 산문(散文) 단편집. 목판본과 필사본이 각각 1책씩 전하며, 〈안빙몽유록(安憑夢遊錄)〉ㆍ〈서재야회록(書齋夜會錄)〉ㆍ〈최생우진기(崔生遇眞記)〉ㆍ〈하생기우전(何生奇遇傳)〉 등 네 편의 작품이 실려 있음.
1553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기재사초(寄齋史草)
조선 후기의 문신인 박동량(朴東亮)이 임진왜란(壬辰倭亂)의 전말을 일기체(日記體)로 엮은 책. 필사본. 2권 1책. 현존하는 유일한 사초(史草)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기재잡기(寄齋雜記)
조선 후기의 문신인 박동량(朴東亮)이 지은 역사책. 필사본. 7권 1책. 조선 초기부터 명종(明宗)에 이르는 역대의 야사(野史)를 기술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기재집(企齋集)
조선 전기의 문신인 신광한(申光漢)의 유고집(遺稿集). 목판본. 24권 10책.
한국>조선시대 , 문헌>서명
-
기저(奇褚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축(奇軸)의 아들로, 1490년(성종 21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부사(府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