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기전체(紀傳體)
본기(本紀)ㆍ열전(列傳)ㆍ표(表)ㆍ지(志) 등으로 구성하여 기술하는, 역사 서술ㆍ편찬 체재의 하나. 사마천(司馬遷)의 《사기(史記)》에서 시작된 형식으로, 이후에 중국의 정사(正史)를 서술하는 기본 체제를 이룸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기법>방법
-
기정진(奇正鎭)
조선 순조(純祖)~고종(高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행주(幸州). 이학(理學) 6대가의 한 사람이며, 위정척사(衛正斥邪)의 정신적 지주.
1798~187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장성ㅣ전라도>순창 , 인명>문사>학자
-
기정후(奇挺後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행주(幸州). 고봉(高峯) 기대승(奇大升)의 후손이며, 공조 판서(工曹判書) 기언정(奇彦鼎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ㅣ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유학
-
기주(冀州)
중국 구주(九州)의 하나로 지금의 산서성(山西省)ㆍ하북성(河北省)에 해당하는 곳. 전설상의 황제 요(堯)ㆍ순(舜)ㆍ우(禹) 등이 이곳을 도읍으로 삼았으며, 유주(幽州)와 함께 좋은 말이 많이 산출되는 곳으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기준(奇遵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, 기묘명현(己卯名賢)의 한 사람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유배되고 신사무옥(辛巳誣獄) 때 교살됨.
1492~152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기진(奇進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기묘명현(己卯名賢) 기준(奇遵)의 형이고, 기대승(奇大升)의 아버지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아우 기준이 죽자 광주(光州)에 은거하면서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.
1487~155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기찬(奇襸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축(奇軸)의 아들로, 1474년(성종 5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(吏曹佐郞) 등을 지냄.
1424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기천린(奇天麟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자오(奇子敖)의 손자로, 판도총랑(版圖摠郞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기천서원(沂川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기도 여주(驪州) 금사면(金沙面)에 건립한 서원. 인조(仁祖) 때 사액되었으며, 김안국(金安國)ㆍ이언적(李彦迪)ㆍ홍인우(洪仁祐)ㆍ정엽(鄭曄)ㆍ이원익(李元翼)ㆍ이식(李植)ㆍ홍명구(洪命耉)ㆍ홍명하(洪命夏) 등을 배향함.
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기천서원(箕川書院)
조선 현종(顯宗) 때 경상도 용궁(龍宮)에 건립한 서원. 안준(安俊)ㆍ이문흥(李文興)ㆍ문근(文瑾)ㆍ문관(文瓘)ㆍ이구(李構) 등을 배향함.
166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용궁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기철(奇轍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권신(權臣). 본관은 행주(幸州). 누이동생인 기황후(奇皇后)로 인해 덕성부원군(德城府院君)에 봉해졌으나 반란을 꾀하다가 주살됨.
?~1356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기축(奇軸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使) 기건(奇虔)의 아들로, 풍저창 부사(豐儲倉副使)를 지냈으며, 승정원 좌승지(承政院左承旨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기축옥사(己丑獄事)
조선 선조(宣祖) 22년에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을 계기로 일어난 옥사(獄事). 이 사건의 여파로 동인(東人)이 크게 위축되고 서인(西人)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, 전라도 출신의 인재 등용에 제한이 가해짐.
1589 한국>조선전기 , 사건>사화
-
기해(祈奚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대부. 공자(孔子)가 그의 공평한 천거(薦擧)를 칭탄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기해예송(己亥禮訟)
조선 현종(顯宗) 즉위년에, 승하한 효종(孝宗)에 대한 자의대비(慈懿大妃)의 복상기간(服喪期間)을 둘러싸고 벌어진 서인(西人)과 남인(南人) 간의 논쟁. 왕실의 종통(宗統)과 관련하여 갑인예송(甲寅禮訟)의 원인이 됨.
1659 한국>조선후기 , 사건>기타사건
-
기홍수(奇洪壽)
고려 명종(明宗)~희종(熙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문하시랑 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를 지냈으나, 후에 최충헌(崔忠獻)에게 정권을 양보한 뒤 음악과 글씨를 즐기며 여생을 보냄.
1148~120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무신
-
기화(己和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승려. 최치원(崔致遠)이 주장했던 불교(佛敎)ㆍ유교(儒敎)ㆍ도교(道敎)의 삼교일치설(三敎一致說)을 전개함.
1376~143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기황후(奇皇后)
중국 원(元) 나라 순제(順帝)의 황후(皇后). 본관은 행주(幸州). 고려인 기자오(奇子敖)의 딸로, 북원(北元) 소종(昭宗)의 생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왕실>왕비
-
기효간(奇孝諫)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행주(幸州). 고흥군(高興君) 기대유(奇大有)의 아들로, 김인후(金麟厚)ㆍ이항(李恒)의 문인(門人). 학문과 후진양성에 주력하여 호남의 은덕군자(隱德君子)로 불렸음.
1530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장성ㅣ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학자
-
기효근(奇孝謹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고흥군(高興君) 기대유(奇大有)의 아들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남해 현령(南海縣令)으로 전함ㆍ무기를 수리하고, 원균(元均)을 따라 사천(泗川)에서 싸워 공을 세움.
1542~159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장성ㅣ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