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기효맹(奇孝孟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고봉(高峯) 기대승(奇大升)의 아들. 정유재란 때에 형 기효민(奇孝閔)과 함께 왜적을 만나 죽음.
1572~?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유학
-
기효민(奇孝閔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행주(幸州). 고봉(高峯) 기대승(奇大升)의 둘째 아들로, 참봉 양홍도(梁弘度)의 딸과 혼인함.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왜적을 만나 죽음을 당하였고, 아내 양씨도 굽히지 않고 맞서다가 자결함.
?~1597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유학
-
기효신서(紀效新書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군 척계광(戚繼光)이 지은 병서(兵書). 척계광이 절강현(浙江縣) 참장(參將)으로 있을 때 왜구(倭寇)를 소탕하기 위하여 편찬한 것으로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병영 편제에 영향을 끼침.
1560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기효증(奇孝曾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의병장ㆍ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고봉(高峰) 기대승(奇大升)의 아들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이끌고 전라도 각지에서 왜군을 물리치고 의주(義州)의 행재소에 나아가 시위(侍衛)한 공으로 형조 정랑에 발탁됨.
1550~161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길대연(吉大淵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야은(冶隱) 길재(吉再)의 증손으로, 참봉(參奉)을 지냄.
1483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길면지(吉勉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해평(海平)으로, 참봉(參奉)을 지낸 길대연(吉大淵)의 아들. 송당(松堂) 박영(朴英)의 문인(門人)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길삼봉(吉三峯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도적. 정여립(鄭汝立)과 역모를 주도한 인물로 알려졌지만 실제 흔적을 찾을 수 없고, 최영경(崔永慶)이 길삼봉으로 오인 받아 죽임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천안 , 인명>기타인명>도적
-
길재(吉再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ㆍ권근(權近) 등에게 수학하였고,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(三隱)으로 일컬어짐.
1353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길제(吉祭)
제사의 일종으로 초상 후 27개월째 지내는 제사. 담제(禫祭)를 지낸 다음 달에 지내며, 길제를 지내고 난 뒤 상주는 평상복을 입을 수 있음.
법제>의례>가례
-
길주(吉州)
함경도에 있는 고을 이름. 동쪽으로 명천현(明川縣), 서쪽으로 단천군(端川郡)과 접해 있으며, 세조(世祖) 때 이시애(李施愛)가 이곳에서 반란을 일으켜 길성현(吉城縣)으로 강등됨.
함경도>길성 , 지명>행정지명
-
길흉경조제규(吉凶慶弔諸規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성일(金誠一)이 지은 길흉경조사에 대한 법규서. 같은 시기에 지은 〈봉선제규(奉先諸規)〉와 함께 의례에 대한 법식이 정리되어 있음.
1587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김^장(金^張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인 김일제(金日磾)와 장안세(長安世)의 두 집안을 함께 부르는 말. 두 집안의 자손들이 7대 동안 대대로 높은 벼슬을 지낸 세도 귀족으로 부귀영화를 누린 데서 권문세가(權門勢家)를 가리키는 말로 쓰임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김가기(金可幾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군수 김천부(金天富)의 아들이며, 대곡(大谷) 성운(成運)의 문인(門人)이자 처조카. 성운(成運)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시를 수집하였고 아들 김덕민(金德民)이 간행함.
1537~1597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보은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가회(金嘉會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경기도 용인(龍仁)의 유곡(柳谷)에 정자를 지은 뒤 주세붕에게 청하여 '우사정(寓思亭)'이라는 정자명을 받은 일이 《무릉잡고(武陵雜稿)》에 실려 있음.
1514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각(金覺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동(永同)으로, 진사 김언건(金彦健)의 아들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상주(尙州)에서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고, 그 뒤 용궁 현감(龍宮縣監)ㆍ온성 판관(穩城判官)을 지냄.
1536~161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간(金榦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박세채(朴世采)ㆍ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(門人). 학행으로 천거되어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내고, 만년에는 저술활동에 전념함.
1646~173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감(金瑊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1504년(연산군 10)에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공조 참의(工曹參議)를 지냄.
1476~153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감(金勘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김원신(金元臣)의 아들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가담하여 연창부원군(延昌府院君)에 봉해짐.
1466~150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갑눌(金甲訥)
조선 전기의 유학. 홍귀달(洪貴達)과 교유하여 한때 홍귀달이 그의 집에 기거하기도 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강한(金江漢)
조선 후기의 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제산(霽山) 김성탁(金聖鐸)의 문인으로, 이상정(李象靖)ㆍ최흥원(崔興遠)ㆍ유도원(柳道源)ㆍ유장원(柳長源) 등과 교유함. 저서에 《계집고증(溪集考證)》과 《난곡집(蘭谷集)》이 있음.
1719~177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