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개(金漑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광(靈光). 김이상(金履祥)의 아들로, 1501년(연산군 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지평(持平)을 지냄. 김정(金淨)의 《충암집(冲庵集)》에 화답시가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개(金鎧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조광조(趙光祖) 등을 현자로 추대할 때 조광조 일파를 비방한 이유로 삭탈관직됨.
1504~156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개(金闓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김귀영(金貴榮)의 아들. 좌윤(左尹)을 지내고, 허균(許筠)의 심복으로서 인목대비(仁穆大妃)의 폐비를 주장함. 허균이 역모 혐의로 처형당할 때 심문을 받다 장살(杖殺)됨.
1582~161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개국(金蓋國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효성이 지극하고 절개가 곧아 칭송을 받음.
1548~16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개물(金開物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훤(金咺)의 아들로, 성품이 강직하였으며, 시(詩)ㆍ서(書)ㆍ화(畵)에 능하였음.
1272~1327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갱(金鏗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탁영(濯纓) 김일손(金馹孫)의 후사로 입적한 김대장(金大壯)의 맏아들이며, 동몽교관(童蒙敎官) 김치구(金致九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거실(金居實)
고려 전기의 서예가. 이규보(李奎報)는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의 〈동국제현서결평론서(東國諸賢書訣評論序)〉에서 묘품(妙品)ㆍ절품(絶品)으로 평가했음.
한국>고려전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김거위(金去僞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와의 문답을 기록한 '을미문답(乙未問答)'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김건(金建)
중국 전한(前漢) 소제(昭帝) 때의 무신. 김일제(金日磾)의 막내아들로, 형인 김상(金賞)과 함께 어려서부터 소제와 친하게 지냈으며, 부마도위(駙馬都尉)를 지냄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김건(金鍵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김유(金愉)의 아들로, 1496년(연산군 2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 최충성(崔忠成)과 함께 남효온(南孝溫)을 방문하여 《소학(小學)》ㆍ《근사록(近思錄)》을 강론(講論)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건수(金健壽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연안(延安). 김안로(金安老)의 종제(從弟)로, 《희락당문고(希樂堂文稿)》에 그와 시를 읊은 기록이 보임.
1485~?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걸(金傑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응교(應敎) 김유(金逌)의 아버지로,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겸광(金謙光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김철산(金鐵山)의 아들. 예조 판서와 좌참찬(左參贊)을 지냄. 평안도 관찰사(觀察使)와 절도사(節度使)를 지내면서 세조(世祖)의 국방정책에 기여한 바가 컸음.
1419~149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겹(金韐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자암(自庵) 김구(金絿)의 손자로, 별제(別提)를 지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왜적에게 목숨을 잃음.
?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경(金鏡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도승지 김질충(金質忠)의 아버지로, 충좌위 부호군(忠佐衛副護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김경근(金敬近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한성부윤(漢城府尹) 김봉서(金鳳瑞)의 아버지로, 좌군 사용(左軍司勇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김경량(金鏡亮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신호위중랑장(神虎衛中郞將) 김광세(金光世)의 아들로, 금오위 대장군(金吾衛大將軍)을 지냈으며, 문하시중평장사(門下侍中平章事)에 추증됨.
?~1247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김경로(金敬老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경상도ㆍ황해도ㆍ전라도 등지에서 활약하였으며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전주(全州) 방어를 맡음. 왜군에게 포위된 남원(南原)을 구하기 위해 싸우던 중 전사함.
?~159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무신
-
김경삼(金景參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성혼(成渾)ㆍ이위빈(李渭濱)ㆍ이순(李純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경생(金景生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김대우(金大愚)의 아들이며, 기대승(奇大升)의 문인. 1573년(선조 6) 알성시(謁聖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감찰(監察)을 지냄.
1549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