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경서(金景瑞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광해군(光海君) 때 명(明) 나라를 도와 후금(後金)을 치기 위해 부원수(副元帥)로 출정하였다가 패한 뒤 강홍립(姜弘立)과 함께 항복하였으며, 몰래 적정(敵情)을 기록하였다가 발각되어 처형됨.
1564~1624 한국>조선후기 , 평안도>용강 , 인명>관인>무신
-
김경선(金景先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무진(茂珍). 통헌대부(通憲大夫)를 지냈으며, 이색(李穡)에게 세 아들의 명자(名字)를 지어 줄 것을 청한 내용이 《목은고(牧隱藁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경언(金慶言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김상(金湘)의 아들로, 1548년(명종 3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군수(郡守)를 지냄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경연(金慶延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김계복(金繼福)의 아버지로, 통덕랑(通德郞)으로서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경우(金景愚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전한(典翰)을 지낸 김기(金紀)의 아들이며, 김식(金湜)의 문인(門人). 공조 좌랑(工曹佐郞)을 지냈으며, 기대승(奇大升)ㆍ김인후(金麟厚)ㆍ양응정(梁應鼎) 등과 시회(詩會)를 만들어 교유함.
1517~155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경운(金慶雲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유학. 진사(進士) 김수(金粹)의 아들로, 주세붕(周世鵬)ㆍ정사룡(鄭士龍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옥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경운(金慶雲)@조선후기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괄(李适)의 난 때 안현 전투(鞍峴戰鬪)에 참여하여 전사함.
?~162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김경원(金慶元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좌의정 김명원(金命元)의 형으로, 1553년(명종 8) 문과 별시(文科別試)에서 장원하여, 조부 김천령(金千齡), 아버지 김만균(金萬均)에 이어 3대가 장원으로 명성을 떨쳤으며, 호서 절도사(湖西節度使) 등을 지냄.
1528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경원(金景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선산(善山). 충무위 상호군(忠武衛上護軍)을 지낸 김찬(金巑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면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경제(金敬悌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진사(進士) 김준(金濬)의 아버지로, 승사랑(承仕郞)에 오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경직(金敬直)
고려 충정왕(忠定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공민왕(恭愍王)이 배원(排元) 정책을 시행할 때 원수(元帥)로 임명되어 압록강 방면을 수비함. 화엄종사(華嚴宗師) 우운(友雲)의 형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경추(金景秋)
조선 후기의 유학ㆍ문인. 본관은 김해(金海)로, 교수(敎授) 김아(金雅)의 아들. 양응정(梁應鼎)의 문인으로, 백광훈(白光勳)ㆍ임제(林悌)ㆍ기대승(奇大升) 등과 교유하였고, 문장가로 유명함.
1520~161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문사>유학
-
김경헌(金景憲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창의(倡義)한 김광운(金光運)의 아버지로, 담양 부사(潭陽府使) 등을 지냄.
1514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경희(金璟希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대사헌(大司憲)을 지냈으며, 개국공신(開國功臣)으로 청풍군(淸風君)에 봉해졌음. 양진재(養眞齋) 김우홍(金禹洪)의 고조부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계(金啓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안(扶安)으로, 생원 김석옥(金錫沃)의 아들. 한어(漢語)에 능통하여 승문원 부제조로 발탁되었으며, 이황(李滉)ㆍ김인후(金麟厚)ㆍ기대승(奇大升)ㆍ이이(李珥) 등과 도학(道學)을 강론하였음.
1528~157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계문(金季文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자암(自庵) 김구(金絿)의 아버지로, 1501년(연산군 7) 식년시(式年試) 생원과(生員科)에 입격하여 현감(縣監)을 지냈으며, 좌승지(左承旨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계보(金季甫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김취려(金就礪)의 8세손이며, 능성 현령(綾城縣令) 김약(金躍)의 아들. 1432년(세종 14) 무과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냈으나, 세조가 즉위하자 남원(南原)으로 내려가 은거했음.
?~145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무신
-
김계복(金繼福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지낸 김경연(金慶延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계정(金繼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생원. 본관은 삼척(三陟). 효력부위(效力副尉) 김중로(金中魯)의 아들로, 교수(敎授)를 지내고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계창(金季昌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문재가 뛰어났으며 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내고, 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의 편찬에 편수관으로 참여함.
?~14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