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계휘(金繼輝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동지의금부사(同知義禁府事)ㆍ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역임하였고, 동서 분당 때 당쟁 완화를 위하여 노력하였음.
1526~158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계흥(金季興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울산(蔚山). 학성군(鶴城君) 김환(金環)의 아들로, 판도 판서(版圖判書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울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곤(金坤)
고려 후기의 문인. 원천석(元天錫)의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박동우(朴東雨) 등과 함께 시를 짓고 시축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보임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김공량(金公亮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연산군 때 스승인 묵재(默齋) 이심원(李深源)과 선비들이 화를 당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함.
1472~154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공망(金公望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부장(部將)을 지낸 김성(金城)의 아들이며, 주계군(朱溪君) 이심원(李深源)의 문인. 1506년(중종 1) 문과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(海州牧使)를 지냄.
1482~152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공석(金公奭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부장(部將)을 지낸 김성(金城)의 아들이며, 화산군(花山君) 김주(金澍)의 숙부. 북도 병마절도사(北道兵馬節度使)ㆍ청홍도 수군절도사(淸洪道水軍節道使) 등을 지냄.
1477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김공신(金公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훈도(訓導)를 지냈고, 고경명(高敬命)이 지은 만사(挽辭)가 《제봉집(霽峯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공영(金恭永)
신라의 귀족(貴族). 거문고의 명인 옥보고(玉寶高)의 아버지로, 사찬(沙飡)의 관등을 받음.
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김공예(金公藝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문의 현령(文義縣令)을 지낸 차헌(次軒) 김지(金墀)의 아들로, 승정원 동부승지(承政院同副承旨)를 역임함.
148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공증(金公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1510년(중종 5)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하여 조광조(趙光祖)와 함께 종유(從遊)하였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유배되었다가 1538년(중종 33)에 풀려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공휘(金公輝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호(金鎬)의 아들이며, 김장생(金長生)의 숙부. 성혼(成渾)과 이이(李珥)에게 수학하였고, 정여립(鄭汝立)의 난을 토평하여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파주 목사(坡州牧使) 등을 지냄.
1550~161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곽(金钁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와서 별제(瓦署別提) 김언홍(金彦弘)의 아들. 외사촌 동생인 정황(丁熿)이 정미사화(丁未士禍)에 연루되어 거제(巨濟)에 유배되어 있을 때 김곽에게 쓴 시(詩)가 《유헌집(游軒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관(金灌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강진(康津).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김장생(金長生)을 도와 의병활동에 가담했으며, 태인(泰仁)의 무성서원(武城書院)에 배향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강진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관(金琯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선산(善山). 점필재(佔畢齋) 김종직(金宗直)의 조부로, 벼슬하지 않고 집안에서 평생 부모를 섬겼으며, 후에 공조 참판(工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관(金綰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나주 목사(羅州牧使) 김숭조(金崇祖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진원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광(金光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부안(扶安). 군수(郡守) 김익복(金益福)의 아버지로, 창락도 찰방(昌樂道察訪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광로(金光輅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문정공(文正公) 김태현(金台鉉)의 아들로, 1317년(충숙왕 5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가안부 녹사(嘉安府錄事)를 지냈으나, 젊은 나이에 요절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광범(金光範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김익돈(金益敦)의 아버지로,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광복(金匡復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전라 도사(全羅都事)를 지내다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좌천되었고 경성 교수(鏡城敎授)가 되었다가 병사(病死)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광서(金光叙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부령(扶寧). 평장사(平章事)를 지낸 김구(金坵)의 현손으로, 지고부군사(知古阜郡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