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광수(金光壽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명종(明宗) 때의 유학인 김희우(金希禹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광수(金光秀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원(元) 나라에 들어가 순제(順帝)를 시종(侍從)하여 자정원사(資政院使)를 지냈고, 황제로부터 금화란(金畫蘭)을 받아왔는데, 이색(李穡)이 그 위에 찬(讚)을 지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광영(金光榮)
조선 전기의 유학.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한 내용이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광우(金光佑)@김응귀의아버지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성균관 박사(成均館博士)를 지낸 김응귀(金應龜)의 아버지로, 1531년(중종 26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공조 정랑(工曹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광우(金光佑)@조선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.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의 소개로 이이(李珥)의 밑에서 수학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광운(金光運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담양 부사(潭陽府使)를 지낸 김경헌(金景憲)의 아들로,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창의사(倡義使) 김천일(金千鎰)을 따라 강화도(江華島)에 이르러 전공(戰功)을 세우고 군중(軍中)에서 죽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광원(金廣元)
고려 후기의 학자. 도은(陶隱) 이숭인(李崇仁)의 시에 특히 예(禮)와 사(史)에 밝아 이름을 떨쳤다는 내용이 보임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학자
-
김광원(金光遠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영광(靈光)으로,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조광조가 사사(賜死)되자, 장흥(長興)에 돌아와 학문에만 전념함.
1478~155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김광을(金光乙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찬화공신(贊化功臣)에 책록되어 명원부원군(溟源府院君)으로 봉해졌으며, 벼슬은 문하시중(門下侍中)에 이르렀음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광재(金光載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효성이 지극해 공민왕(恭愍王)이 그가 사는 마을을 영창방 효자리(靈昌坊孝子里)로 정표(旌表)함.
1294~1363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광저(金光儲)
고려 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녕(金寧). 공양왕 때 판도판서(版圖判書)를 지냈으나, 고려가 망하자 무록산(武鹿山)에 들어가 절의를 지킴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광좌(金匡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제(金磾)의 아들이며, 구암(久庵) 김취문(金就文)의 아버지. 호조 정랑(戶曹正郞)을 지냈으며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에 추증됨.
1466~154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광준(金光準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소윤(小尹)의 한 사람으로서 을사사화(乙巳士禍)를 일으켜 공신호(功臣號)를 받고 상락군(上洛君)에 책봉되었으며, 대사헌(大司憲)ㆍ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우찬성(右贊成) 등을 지냈음.
?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광진(金光軫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출사 후 주로 지방 관직에 재임하면서 치적을 쌓아 백성들의 칭송이 높았으며, 호조 참판(戶曹參判) 등을 지냄.
1495~?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광찬(金光燦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좌의정 김상헌(金尙憲)의 아들이며 영의정 김수항(金壽恒)의 아버지.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(南漢山城)으로 인조를 호종하고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를 지냄.
1597~166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광찬(金光纘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월천(月川) 조목(趙穆)의 사위로, 유일재(惟一齋) 김언기(金彦璣)의 문인(門人).
1564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광철(金光轍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예조 참판(禮曹參判) 등을 지내고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ㆍ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함. 심언광(沈彥光)ㆍ기준(奇遵) 등과 교유함.
1493~1550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광철(金光轍)@고려
고려 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1347년(충목왕 4) 밀직사 판사(密直司判事)로 있을 때 정치도감(整治都監)이 설치되자 그 판사를 겸하여 폐정개혁(弊政改革)을 주도함.
?~1349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광택(金光澤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죽천(竹川) 박광전(朴光前)의 문인. 선조(先祖)인 동촌(桐村) 김린(金麟)이 은거했던 곳에 동백정(冬栢亭)을 세웠는데, 박광전이 쓴 〈동백정기(冬栢亭記)〉가 《죽천집(竹川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광필(金匡弼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제(金磾)의 맏아들이며, 병조 정랑(兵曹正郞) 김취정(金就精)의 아버지이자, 구암(久庵) 김취문(金就文)의 백부(伯父)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