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광헌(金光憲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유학ㆍ문인. 본관은 의성(義城). 1759년(영조 35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, 영남학파(嶺南學派)의 대학자인 이상정(李象靖)ㆍ이광정(李光靖) 형제와 교유함.
1720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ㅣ인명>문사>문인
-
김광헌(金光軒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1519년(중종 14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고, 심언광(沈彥光)과 교유하여 《어촌집(漁村集)》에 그에 대한 애사(哀辭)가 남아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광후(金光厚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나복산인(蘿葍山人) 김도(金濤)의 아버지로, 밀직제학(密直提學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괴(金塊)
조선 예종(睿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광(靈光). 이조 참판 김필(金㻶)의 아들로, 남효온(南孝溫)과 교유하였으며, 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 등을 지냄.
1450~148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굉(金㙆)
조선 정조(正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이상정(李象靖)의 문인(門人)으로, 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지냄. 문학에 남달리 뛰어났고 필법이 높아 능히 한 체제를 이룰 만하였음.
1739~18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굉(金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평양 서윤(平壤庶尹) 김순성(金順誠)의 아들로, 대사간(大司諫)ㆍ홍문관 부제학(弘文館副提學)ㆍ충청도 관찰사(忠淸道觀察使) 등을 두루 역임함.
1470~152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굉필(金宏弼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서흥(瑞興)으로,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.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극형에 처해짐. 정여창(鄭汝昌)ㆍ조광조(趙光祖)ㆍ이언적(李彦迪)ㆍ이황(李滉) 등과 함께 오현(五賢)으로 문묘에 종사됨.
1454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교(金嶠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이시애(李施愛)의 난에 무공을 세워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고, 1479년(성종 10) 건주야인(建州野人)을 토벌하였으며, 훈련원 판관(訓練院判官)ㆍ평안도 관찰사(平安道觀察使) 등을 지냄. 동생 6명이 모두 무과에 합격한 무인 집안임.
1428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김구(金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십청헌(十淸軒) 김세필(金世弼)의 둘째 아들로, 참봉(參奉)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구(金坵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령(扶寧). 시문(詩文)에 능하여 원(元) 나라에 다녀온 후 《북정록(北征錄)》을 지었으며, 《고종실록(高宗實錄)》편찬에도 참여함.
1211~1278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구(金絿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. 본관은 광산(光山). 글씨에 뛰어나 안평대군(安平大君) 이용(李瑢)ㆍ양사언(楊士彦)ㆍ한호(韓濩)와 함께 조선 전기의 4대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꼽힘.
1488~153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예산ㅣ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구(金鉤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아산(牙山). 윤상(尹祥)의 문인(門人)으로, 《초학자회(初學字會)》를 언해하는 등 국역사업에 공이 크고, 경사(經史)와 성리학에 정통함.
?~146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아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구덕(金九德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상락군(上洛君) 김묘(金昴)의 아들이자, 세종(世宗) 후궁인 명빈(明嬪)의 아버지로,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하고, 판돈녕부사(判敦寧府事)에 올랐으며, 세조(世祖)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추록됨.
?~142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김구성(金九成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개성(開城)으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면앙정(俛仰亭) 송순(宋純)과 함께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구용(金九容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우왕 때 삼사 좌윤(三司左尹)으로 이숭인(李崇仁)ㆍ정도전(鄭道傳) 등과 북원(北元)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(竹州)로 귀양 감. 사장(詞章)에 뛰어나고, 특히 시(詩)로 유명함.
1338~138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구지(金九智)
조선 전기의 유학. 1456년(세조 2) 단종(端宗) 복위 모의(復位謀議)에 참여하였다가 죽임을 당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국광(金國光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세조(世祖)의 두터운 신임을 얻어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 편찬에 참여하고, 성종 때 좌리공신(佐理功臣)으로 광산부원군(光山府院君)에 봉해짐.
1415~148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국평(金國枰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군수 김사희(金士熙)의 아들이며, 장포(長浦) 김행(金行)의 아버지로, 선무랑(宣務郞)에 오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군(金頵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김취려(金就礪)의 손자이며, 문하시랑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 김전(金佺)의 아들로, 광정대부(匡靖大夫) 도첨의참리(都僉議參理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권(金權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정국(金正國)의 친구로, 오랜만에 만난 그를 보고 지었다는 시가 《사재집(思齋集)》에 남아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