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극형(金克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함창(咸昌).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극효(金克孝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신천 군수(信川郡守)를 지낸 김생해(金生海)의 아들이며, 김상용(金尙容)과 김상헌(金尙憲)의 부친. 임당(林塘) 정유길(鄭惟吉)의 문하에서 수학했고,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를 지냄.
1542~161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근(金覲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부식(金富軾)의 아버지로, 국자좨주 좌간의대부(國子祭酒左諫議大夫)를 지냄. 시문에 능하여 송(宋) 나라에까지 명성이 알려짐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근공(金謹恭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김모(金瑁)의 서자로, 박응남(朴應男) 등과 함께 이중호(李仲虎)의 문하에서 수학함. 양명학(陽明學)에 조예가 깊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학자
-
김근독(金謹獨)
조선 전기의 문신. 채수(蔡壽)와 교유하였고, 《나재집(懶齋集)》에 그의 당호(堂號)인 〈우련헌기(友蓮軒記)〉가 남아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근사(金謹思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홍문관 부제학(弘文館副提學)ㆍ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 김안로(金安老)의 일파가 되어 순조로운 관직생활을 하였으나 김안로의 실각과 함께 귀양가서 죽음.
1466~153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급(金伋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청도(淸道). 유헌(遊軒) 정황(丁熿)의 문인(門人)으로, 《유헌집(游軒集)》에 문답한 글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기(金器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이 지어준 자설(字說)이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남아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기(金淇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성석린(成石璘)과 교유하고, 종부 판사(宗簿判事)를 지냈으며, 세조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으로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기(金璣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원주 목사(原州牧使) 김태경(金泰卿)의 아들이자 예조 판서(禮曹判書) 김인손(金麟孫)의 아버지로, 진안 현감(鎭安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기(金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했으며, 도산서원(陶山書院)의 산장(山長)으로 《퇴계집(退溪集)》을 간행함.
1547~16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김기(金祺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문인화가. 본관은 연안(延安)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김안로(金安老)의 아들로,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지냄.
1509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기(金紀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대사간을 지낸 김숭조(金崇祖)의 아들. 홍문관 전한(典翰)을 지낸 뒤 조졸(早卒)함.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전집(河西全集)》에 만시(挽詩) 두 편이 실려 있음.
1500~153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기(金誋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김신동(金神童)의 아들로, 1549(명종 4) 식년시(式年試) 병과(丙科)에 급제하였으며,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기남(金奇南)
조선 전기의 유학. 《무릉잡고(武陵雜稿)》에 주세붕(周世鵬)이 보낸 시들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기보(金箕報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음보(蔭補)로 벼슬에 나아갔으며, 품성이 충간(忠簡)하고 문장이 뛰어남.
1531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기서(金麒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에 조광조(趙光祖)와 신진사림(新進士林)들이 대거 숙청당하자 향리로 돌아가 후진양성에 전념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고창 , 인명>문사>학자
-
김기손(金驥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이며, 김일손(金馹孫)의 중형(仲兄).
1455~149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ㅣ경상도>밀양ㅣ경기도>용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기종(金起宗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이괄(李适)의 난이 일어났을 때 종사관(從事官)으로 종군하였으며, 그 평정과정을 《서정록(西征錄)》으로 편찬함.
1585~163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기주(金起周)
조선 전기의 유학. 성혼(成渾)의 《우계집(牛溪集)》 〈잡기(雜記)〉에 개성 유장(開城鍮匠) 한순계(韓順繼)에 대해 평(評)한 글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