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기후(金基厚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순천(順天). 김윤안(金允安)의 아들로, 숙부(叔父)인 김윤문(金允文)에게 출계(出系)함. 1627년(인조 5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582~163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김길통(金吉通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1432년(세종 14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장원급제한 뒤 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내고, 성종 때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어 월천군(月川君)에 봉해짐.
1408~147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낙춘(金樂春)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순천(順天). 이황(李滉)의 문인. 학행(學行)으로 익위사 세마(翊衛司洗馬)와 예조 좌랑(禮曹佐郞)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1525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경상도>문경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난상(金鸞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도(淸道). 이황(李滉)ㆍ정황(丁熿) 등과 교유하고, 1545년(인종 1) 을사사화(乙巳士禍)와 1547년(명종 2)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으로 유배되었으나, 선조 때 대사성(大司成) 등을 지냄.
1507~157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남득(金南得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. 고령김씨(高靈金氏)의 시조(始祖)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남응(金南應)
조선 후기의 유학(幼學). 본관은 안동(安東). 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종덕(金宗德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남정(金南正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낙안(樂安). 사재경(司宰卿) 김윤경(金允卿)의 아들이며, 낙천군(樂川君) 김수(金隨)의 아버지로, 전객령(典客令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낙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남중(金南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울산(蔚山)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의 손자이며, 고봉(高峯) 기대승(奇大升)의 사위. 선교랑(宣敎郞)에 올랐고, 1590년(선조 23)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이 인정되어 광국원종공신(光國原從功臣)에 추록(追錄)되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울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녹(金祿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세칭(世稱) 삼원수(三元帥)라 불린 김득배(金得培)ㆍ김득제(金得齊)ㆍ김선치(金先致)의 부친이며, 조선 선조(宣祖) 때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김귀영(金貴榮)의 10대조. 좌대언(左代言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농(金農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을 지낸 김의정(金義貞)의 아들로 음보(蔭補)로 관직에 진출하여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
1534~159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뉴(金紐)@1527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선산(善山)으로, 점필재(佔畢齋) 김종직(金宗直)의 손자. 민구령(閔九齡)의 문인(門人)으로 별제(別提)를 지냈으며, 합천(陜川)의 신천서원(新川書院)에 배향됨.
1527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뉴(金紐)@1420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중엄(金仲淹)의 아들로, 대사헌(大司憲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역임했으며, 시(詩)ㆍ서(書)ㆍ금(琴)에 모두 뛰어났음.
1420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다경(金多慶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진해(鎭海)ㆍ청도(淸道)의 현감(縣監)을 지낸 김세량(金世良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담(金譚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강릉(江陵)으로, 김광복(金光輻)의 아들. 효자로 유명하여 양사언(楊士彦)에 의해 추천되어 포상을 받았고, 그의 효도를 노래한 시가 《봉래시집(蓬萊詩集)》에 남아 있음.
1522~1605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담(金淡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천문학자. 본관은 예안(禮安). 이순지(李純之) 등과 함께 많은 천문역서를 교정하고 편찬함.
1416~146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담수(金聃壽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이조 정랑(吏曹正郞) 김정룡(金廷龍)의 아버지.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했으나 건강으로 과거를 포기하고 경전공부에 정진함. 저서로 《서계일고(西溪逸稿)》가 있음.
1535~16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학자
-
김당(金璫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 일파를 변호하는 태도를 취하였으며, 좌찬성(左贊成)으로 재임 중 죽음.
1465~153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대경(金臺卿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벼슬이 대제학에 이르렀으며, 문장(文章)이 뛰어나 《동문선(東文選)》에 시(詩)가 실림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대기(金大器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정철(鄭澈)의 문인으로 정홍명(鄭弘明) 형제 및 조홍립(曺弘立) 등과 교유함.
1557~162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문사>학자
-
김대명(金大鳴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울산(蔚山)으로, 찰방(察訪) 김추(金樞)의 아들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초유사(招諭使) 김성일(金誠一)의 도소모장(都召募將)이 되어 고성(固城) 의병들과 함께 왜적을 토벌하여 공을 세움.
1536~159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동ㅣ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