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대언(金臺彦)
고려 충선왕(忠宣王) 때의 부마. 충선왕의 비 순비허씨(順妃許氏)의 전실 소생인 영복옹주(永福翁主)와 혼인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왕실>인척
-
김대우(金大愚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언양(彦陽). 충무위 사직(忠武衛司直) 김효준(金孝俊)의 아들이며, 감찰(監察) 김경생(金景生)의 아버지로, 1549년(명종 4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대유(金大有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직제학(直提學) 김준손(金駿孫)의 아들이며, 김일손(金馹孫)의 조카. 정여창(鄭汝昌)의 문인으로, 조광조(趙光祖)ㆍ조식(曺植) 등과 친교를 맺음.
1479~155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대윤(金大潤)
고려 후기의 문신ㆍ은자. 고려 말 불사이군(不事二君)의 절의정신(節義精神)으로 관직을 버리고 자연에 은거하며 출사(出仕)하지 않은 팔은(八隱) 중의 한 사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대정(金大貞)
조선 후기의 유학. 김륭(金隆)의 《물암집(勿巖集)》에 그에게 화답하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대현(金大賢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풍산(豊山)으로, 성혼(成渾)의 문인. 학행(學行)으로 천거되어 찰방ㆍ현감 등을 지냈고,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향병을 모아 민심을 수습하는데 공헌함.
1553~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덕겸(金德謙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산(商山). 김홍(金洪)의 아들로, 충청 도사(忠淸都事)를 지냈으나, 1612년(광해군 4) 광해군(光海君)을 비방하는 언서(諺書)로 추국을 당한 후 은거함. 시(詩)로 명성이 높았음.
1552~1633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덕곤(金德鵾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대사헌(大司憲)을 지낸 김덕룡(金德龍)의 동생.
152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덕령(金德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김붕섭(金鵬燮)의 아들이며, 성혼(成渾)의 문인(門人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일으켜 권율(權慄)ㆍ곽재우(郭再祐) 장군과 협력하여 많은 공을 세웠으나, 이몽학(李夢鶴)의 난에 연루되어 옥사함.
1567~159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김덕룡(金德龍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관직은 봉상시 주부(奉常寺主簿) 등을 거쳐 대사헌(大司憲)에 이르렀음
1518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덕망(金德望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좌찬성(左贊成)을 지낸 구사맹(具思孟)의 사위. 영동 현감(永同縣監)ㆍ공조 좌랑(工曹佐郞)을 역임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덕무(金德懋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ㆍ문신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화를 입은 동천(東泉) 김식(金湜)의 아들. 천거로 현릉 참봉(顯陵參奉)을 지냈으며, 〈가소음(可笑吟)〉이란 시(詩)가 전함.
1512~156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덕민(金德民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김가기(金可幾)의 아들. 1603년(선조 36) 김가기가 수집하여 간행하고자 했던 성운(成運)의 문집인 《대곡집(大谷集)》을 간행함.
1570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보은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덕보(金德普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의병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붕섭(金鵬燮)의 아들로, 임진왜란ㆍ정묘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.
1571~162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김덕붕(金德鵬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수성금화사 제검(修城禁火司提檢)을 지낸 김해(金瀣)의 아들. 청도 군수(淸道郡守)를 지냈으며, 《초간집(草澗集)》에 권문해(權文海)가 지은 만시(輓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덕수(金德秀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효우(孝友)가 출천(出天)했으며, 문장이 뛰어났음. 아버지 김식(金湜) 문하에서 신명인(申命仁)ㆍ오희안(吳希顔) 등과 함께 수학했으며, 문하에서 이언적(李彦迪)ㆍ윤근수(尹根壽) 등이 배출되었음.
1500~155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덕장(金德璋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강릉(江陵). 구사맹(具思孟)ㆍ이이(李珥)ㆍ이우(李瑀) 등과 교유하여, 《팔곡집(八谷集)》ㆍ《율곡전서(栗谷全書)》ㆍ《옥산시고(玉山詩稿)》에 시(詩)가 실려 있음.
1531~?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덕지(金德摯)
신라 경순왕(敬順王)의 별자(別子). 울산김씨(蔚山金氏)의 시조.
한국>고려전기ㅣ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울산 , 인명>왕실>왕자
-
김덕함(金德諴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김홍(金洪)의 아들로, 인목대비(仁穆大妃) 폐모론에 반대하여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(仁祖反正)으로 복직되어 대사헌(大司憲)을 지냄.
1562~1636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덕해(金德獬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충좌위 부사직(忠佐衛副司直)을 지낸 김치(金淄)의 아들. 진원 현감(珍原縣監)을 지내고, 고경명(高敬命)과 교유하였으며, 《제봉집(霽峯集)》에 그의 만사(挽詞)가 남아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