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덕홍(金德弘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의병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붕섭(金鵬燮)의 아들로, 성혼(成渾)의 문하에서 수학함.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싸우다가 고경명(高敬命)과 함께 금산에서 전사함.
?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김도(金濤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양백연(楊伯淵)의 옥사에 연루되어 효수당함.
?~1379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도(金燾)
조선시대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후릉 참봉(厚陵參奉) 김취빈(金就彬)의 아들.
한국>조선시대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도화(金道和)
조선 고종(高宗)~순종(純宗)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약수(金若洙)의 아들이며, 정재(定齋) 유치명(柳致明)의 문인(門人). 유일(遺逸)로 천거되어 의금부 도사를 지냈으며,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항거하여 의병을 일으킴.
1825~1912 한국>근대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독(金篤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민생의 근본인 농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, 조선이 개국하자 공주도 유학교수(公州道儒學敎授)에 부임하여 인재를 양성하는데 힘씀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이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두성(金斗星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금정도 찰방(金井道察訪) 김세진(金世珍)의 아들이며, 영의정(領議政) 김흥경(金興慶)의 아버지.
1643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득겸(金得謙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황(金貺)의 장인으로, 계림부원군(鷄林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득배(金得培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홍건적(紅巾賊)의 난 때 개경(開京)과 서경(西京)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으나, 김용(金鏞)의 모략으로 정세운(鄭世雲)을 살해하고 그 죄로 효수당함.
1312~136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득선(金得先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가흥(佳興). 성균관 직강(成均館直講) 김윤정(金胤鼎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득제(金得齊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홍건적(紅巾賊)의 난 때 개경(開京)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, 우왕 때에도 여러 번 왜구를 격퇴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김득지(金得地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성균관 직강(行成均館直講) 김세량(金世良)의 아들. 윤두수(尹斗壽)ㆍ임운(林芸)ㆍ정황(丁熿) 등과 교유하여, 《오음유고(梧陰遺稿)》ㆍ《첨모당집(瞻慕堂集》ㆍ《유헌집(游軒集)》에 차운시(次韻詩)ㆍ증시(贈詩)가 실려 있음.
1531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락(金樂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개국공신. 견훤(甄萱)과의 공산전투(公山戰鬪)에서 신숭겸(申崇謙)과 함께 태조를 구하고 전사함. 〈도이장가(悼二將歌)〉의 주인공.
?~927 한국>고려전기ㅣ한국>통일신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련(金璉)@고려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사원(金士元)의 아버지.
1215~1292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련(金璉)@조선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안국(金安國)의 아버지.
1452~149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련(金鍊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화평(化平). 찬성사(贊成事) 김지숙(金之淑)의 아들로, 참지정사(參知政事)를 지냄. 행동이 법도에 어긋나지 않아 장자(長者)로 칭송받음.
?~1278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령(金坽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성룡(柳成龍)의 막하로 자진하여 종군하였고, 인조반정(仁祖反正) 후 장령(掌令)ㆍ집의(執義)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음.
1577~164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령(金齡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울산(蔚山)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의 아버지로, 참봉(參奉)을 지냄.
1474~154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로(金輅)@고려
고려 후기의 무신. 예안김씨(禮安金氏)의 중시조. 조선 세종(世宗) 때의 천문학자인 김담(金淡)의 할아버지로, 좌우위 보승 낭장(左右衛保勝郞將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무신
-
김로(金輅)@조선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조선 개국공신(開國功臣) 중의 한 사람으로, 판중추원사(判中樞院事)ㆍ지의정부사(知議政府事)를 지냄.
1355~141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로(金魯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안동(安東). 대사헌을 지낸 김희수(金希壽)의 아들로 부자가 모두 명필로 유명하였으며, 그의 필적으로 글씨를 새겨 간행한 《이가서법(二家書法)》이 있음.
1498~154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