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몽득(金夢得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연안(延安). 예조 정랑(禮曹正郞) 김개국(金蓋國)의 아버지로, 장사랑(將仕郞)에 오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몽호(金夢虎)
조선시대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승정원 승지(承政院承旨) 김중청(金中淸)의 아버지로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시대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묘(金昴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중서시랑 평장사(中書侍郞平章事)를 지낸 김승택(金承澤)의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무(金楙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전라도 관찰사를 지낸 김징(金澄)의 아들. 1718년(숙종 44) 금산 태수(金山太守)가 되어 조위(曺偉)의 문집인 《매계집(梅溪集)》을 간행함.
1655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무(金畝)
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고령김씨의 시조인 김남득(金南得)의 아들로, 공양왕(恭讓王) 때 간관(諫官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문(金問)
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대사헌(大司憲) 김약채(金若采)의 아들로, 1392년(태조 1) 을과(乙科)에 합격하여 예문관 검열(藝文官檢閱)에 보임(補任)되었으나, 다음 해 죽음.
1373~139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문경(金文卿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안민(金安民)의 아들이며, 목사(牧使) 김세준(金世俊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문기(金文起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1456년(세조 2) 단종 복위(端宗復位) 모의에 가담하였다가 죽임을 당함.
1399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옥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문열공집(金文烈公集)
고려 인종(仁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부식(金富軾)의 저서. 20권. 현전하지 않아 내용은 알 수 없음. 문열(文烈)은 김부식의 시호.
한국>고려전기 , 문헌>서명
-
김문행(金文行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화음동주(華陰洞主) 김수증(金壽增)의 증손이며, 밀양 부사(密陽府使)를 지낸 김이탁(金履鐸)의 아버지. 좌승지(左承旨)ㆍ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
1701~175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미(金亹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삼척(三陟)으로, 제주 목사(濟州牧使) 김률(金硉)의 아들. 우승지ㆍ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고, 명종 초에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박(金博)
조선시대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김윤명(金允明)ㆍ김윤안(金允安)의 아버지로,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시대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반(金槃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익산 군수(益山郡守) 김장생(金長生)의 아들이고, 김익훈(金益勳)의 아버지. 송익필(宋翼弼)의 문인(門人)으로 이괄(李适)의 난과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인조를 호종한 공이 있음. 대사간(大司諫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내고, 영의정에 추증됨.
1580~164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연산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반(金泮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강서(江西). 권근(權近)의 문인으로 경서에 정통하여 김구(金鉤)ㆍ김말(金末)과 함께 경학삼김(經學三金)으로 불림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강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반천(金半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김사창(金泗昌)의 아들로, 정종(定宗)의 증손인 안현군(安賢君) 이성동(李盛同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방(金放)
조선 전기의 유학. 유방선(柳方善)과 교유하여, 그의 문집인 《태재집(泰齋集)》에 관련 시편(詩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방경(金方慶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효인(金孝印)의 아들로, 삼별초(三別抄)의 난을 평정하고 원(元) 나라가 일본을 정벌할 때 참여함.
1212~130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김방려(金方礪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이첨(李詹)ㆍ전녹생(田祿生)ㆍ몽주(鄭夢周) 등과 이인임(李仁任)의 친원정책을 배척했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백겸(金伯謙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광성군(光城君) 김혁(金革)의 아들로, 이시애(李施愛)의 난 때 구성군(龜城君) 이준(李浚)의 군관으로 출정하여 공을 세움.
1429~150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김백경(金伯卿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선산(善山)으로, 형조 정랑(刑曹正郞) 김순(金詢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