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백순(金伯醇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희천(熙川). 경학에 밝아 정사룡(鄭士龍)ㆍ박세호(朴世豪) 등과 함께 사유(師儒)에 뽑힘.
1494~1548 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희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백영(金百英)
조선 후기의 유학. 선조(宣祖) 때의 직장(直長) 김태명(金泰溟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김천일(金千鎰)의 의병(義兵)에 형제인 김천영(金千英)과 함께 참가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백환(金百鍰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해평(海平). 돈용교위(敦勇校尉) 김맹겸(金孟謙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번(金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관서지방에 전염병이 만연하자, 둔전책(屯田策)을 건의하고 군졸의 잡다한 세를 없애주어 백성의 주거를 편안하게 하였음.
1479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범(金範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학행(學行)으로 천거되어 옥과 현감(玉果縣監)을 지내고, 만년에 주자학에 전심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.
1512~156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학자
-
김벽(金璧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유희춘(柳希春)과 교유하고, 창평 현령(昌平縣令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벽(金碧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증손(金曾孫)의 아들로, 충순위(忠順衛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은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변(金汴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부사직(副司直)을 지낸 김세광(金世光)의 아들. 1535년(중종 30) 급제하여 훈련 참군(訓鍊參軍)ㆍ서산 군수(瑞山郡守) 등을 지냄.
1501~157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김변(金賆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충렬왕이 세자로 원(元) 나라에 있을 때 예부 낭중(禮部郞中)으로 4년간 보좌하여 이등공신(二等功臣)에 녹훈됨.
1248~130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보(金寶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삼택(李三宅)ㆍ오건(吳健)과 교유함. 《덕계집(德溪集)》의 〈덕계선생연보(德溪先生年譜)〉에 환아정(換鵝亭)에서 놀면서 시(詩)를 주고받은 기록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보(金保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언양(彦陽). 문하시랑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 김전(金佺)의 아들이며, 문하시중(門下侍中) 김취려(金就礪)의 손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보(金普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판도판서(版圖判書)로서 공민왕이 세자로 원(元)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(一等功臣)에 오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보중(金寶重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진사(進士) 김옥려(金玉礪)의 아버지로, 선무랑(宣務郞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복(金復)
조선 전기의 유학. 양사언(楊士彥)의 《봉래시집(蓬萊詩集)》에 차운한 시가 남아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복경(金復慶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서산 군수(瑞山郡守)를 지낸 김변(金汴)의 아들. 1573년(선조 6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(楊州牧使) 등을 지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왜군과 싸우다 전사함.
1544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복억(金福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진(康津)으로, 통훈대부(通訓大夫) 김약묵(金若默)의 맏아들. 일재(一齋) 이항(李恒)의 문인으로, 1573년(선조 6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고, 돈녕부 봉사(敦寧府奉事) 등을 지냄.
1524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복일(金復一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이황(李滉)의 문인이며, 학봉(鶴峯) 김성일(金誠一)의 동생. 경주 교수(慶州敎授)ㆍ울산 군수(蔚山郡守)ㆍ창원 부사(昌原府使) 등을 지냈으며, 경주 교수로 있을 때 학생들을 경학으로써 인도하여 도의를 크게 일으킴.
1541~15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경상도>예천ㅣ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봉(金崶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이조 정랑(吏曹正郞) 김륜(金崙)의 동생.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하고, 갑자사화(甲子士禍)로 파직되었다가 중종 때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?~1512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봉상(金鳳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청도(淸道). 김현(金俔)의 아들로, 영릉 참봉(英陵參奉) 등을 지냈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보련산(寶蓮山)에 은거함.
1496~154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김봉서(金鳳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김경근(金敬近)의 아들로, 40세에 벼슬하여 내외직을 두루 거친 뒤 한성부윤(漢城府尹) 등을 지냄.
1454~153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