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봉조(金奉祖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풍산(豊山). 산음 현감(山陰縣監) 김대현(金大賢)의 아들로, 유성룡(柳成龍)의 문인(門人). 제용감 정(濟用監正) 등을 지냈으며, 아우 김영조(金榮祖)와 함께 영남에서 문명을 떨침.
1572~163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부(金富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김취려(金就礪)의 아버지. 1186년(명종 16) 예부 시랑(禮部侍郞)을 겸함으로써 무신으로서 문한(文翰)을 관장하는 유관직(儒官職)까지 겸한 최초의 인물이 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무신
-
김부륜(金富倫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김성일(金誠一)ㆍ이발(李潑)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, 만년에 설월당(雪月堂)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.
1531~15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김부식(金富軾)
고려 숙종(肅宗)~의종(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《삼국사기(三國史記)》를 편찬함.
1075~1151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부신(金富信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유학(儒學)에 돈독한 뜻을 두었다는 이황(李滉)의 평을 받음.
1523~156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김부원(金溥元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언양(彦陽).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김응회(金應會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부의(金富儀)@고려
고려 문종(文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국자좨주 좌간의대부(國子祭酒左諫議大夫) 김근(金覲)의 아들. 1134년(인종 12) 형인 김부식(金富軾)과 함께 묘청(妙淸)의 반란을 평정함.
1079~1136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부의(金富儀)@조선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
1525~158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김부인(金富仁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ㆍ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낙안 군수(樂安郡守)ㆍ정주 목사(定州牧使)ㆍ경상도 병마절도사(慶尙道兵馬節度使) 등을 지냄. 관직에서 물러난 뒤 경학(經學)에 힘쓰면서 근본원리를 종합적으로 통찰함을 학문연구의 토대로 삼음.
1512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무신
-
김부일(金富佾)
고려 예종(叡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국자좨주 좌간의대부(國子祭酒左諫議大夫) 김근(金覲)의 둘째 아들로, 수태위 개부의동삼사 비서성사 주국(守太尉開府儀同三司祕書省事柱國) 등을 지냄. 문장에 능하여 송(宋) 나라에까지 이름이 알려짐.
1071~1132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부필(金富弼)@고려
고려 선종(宣宗)~예종(睿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국자좨주 좌간의대부(國子祭酒左諫議大夫)를 지낸 김근(金覲)의 아들. 1107년(예종 2)에 윤관(尹瓘)이 여진(女眞)을 정벌할 때 출정하여 공을 세움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부필(金富弼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
1516~157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김붕섭(金鵬燮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임진왜란 때 의병인 김덕홍(金德弘)ㆍ김덕령(金德齡)ㆍ김덕보(金德普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비(金埤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지냄. 조선 세종(世宗) 때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하연(河演)의 모부인(母夫人) 진주정씨(晉州鄭氏)의 외조부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비(金棐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증좌승지(贈左承旨) 김덕수(金德秀)의 아들로, 군자 판관(軍資判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비궁(金匪躬)
고려 전기의 문신. 김희일(金希逸)의 아들. 문하찬성사(門下贊成事)를 지냈고, 벽상공신(壁上功臣)이 되어, 상산부원군(商山府院君)에 봉해짐.
1040~?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빈(金濱)
조선 전기의 학자. 남효온(南孝溫)과 죽마고우(竹馬故友)로 담양 교관(潭陽敎官)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사(金嗣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수원(水原). 벼슬하지 않고 안빈수도(安貧守道)하며 후학을 양성함.
1447~153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사(金泗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상산(商山).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김석진(金碩振)의 아버지로, 상원군(商原君)으로 추봉(追封)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사걸(金士傑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구손(金龜孫)의 아들이며, 형조 참의(刑曹參議) 김위(金偉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