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사결(金事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김윤원(金胤源)의 아들로, 1510년(중종 5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부사(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사고(金師古)
조선 전기의 문신. 강원도 원주(原州)에 있는 빙허루(憑虛樓)의 주인으로 그 내용이 홍귀달(洪貴達)의 《허백정집(虛白亭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사렴(金士廉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김천(金蕆)의 아들. 정몽주(鄭夢周)ㆍ이색(李穡)과 교유하고, 신돈(辛旽)이 권력을 갖자 왕에게 직간(直諫)함.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에 나가지 않고, 청주의 도산(陶山)에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사명(金士明)
조선 전기의 유학. 박승임(朴承任)의 《소고집(嘯皐集)》에 만사(挽詞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사문(金士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김우(金佑)의 아들로, 1538년(중종 33) 별시(別試)에 급제한 후 원주 교수(原州敎授)가 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사수(金師秀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귀년(金龜年)의 아들로, 음관(蔭官)으로 출사하여 회덕 현감(懷德縣監) 등을 역임함.
1490~154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사순(金思順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영광(靈光). 1362년(공민왕 11) 문과에 급제한 김지(金祉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사악(金師諤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하였으며,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김안국의 증시(贈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사원(金嗣源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상의원 정(尙衣院正)을 지내고, 사후 병조 참판(兵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사원(金士元)@고려후기
고려 충선왕(忠宣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문하시랑찬성사 김련(金璉)의 아들. 충선왕 때 권신 이대순(李大順)의 모함으로 장류(杖流)됨. 돌아와 평양 윤(平壤尹) 등을 거쳐 첨의찬성사(僉議贊成事)에 이름.
?~1319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사원(金士元)@조선전기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로, 흡곡 현령(歙谷縣令)을 지낸 김숙춘(金叔春)의 아들. 1492년(성종 23)에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, 파주 목사(坡州牧使)ㆍ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ㆍ첨지사(僉知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사원(金士元)@조선후기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규합하여 정제장(整濟將)으로 추대됨.
1539~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사중(金士重)
조선 전기의 유학. 권호문(權好文)의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사창(金泗昌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형조 참판(刑曹參判)을 지낸 김수손(金首孫)의 아들로, 무오사화(戊午士禍)에 연루되어 참형(斬刑) 당한 이목(李穆)의 처형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사혁(金斯革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개경(開京)에 침입한 홍건적(紅巾賊)을 격퇴함.
?~1385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사형(金士衡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제1차 왕자난 때 태종의 즉위를 도움.
1333~1407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사효(金思孝)
조선 전기의 유학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, 등암(鐙巖) 이덕익(李德益) 등과 팔현회(八賢會)를 조직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삭(金朔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화(金華)의 아들이며, 예조 판서(禮曹判書) 김예몽(金禮蒙)의 아버지로, 사성(司成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삼계(金三戒)
조선 전기의 유학.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삼산(金三山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김극효(金克孝)의 아들이며,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 김옹(金顒)의 아버지로, 전력(展力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