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서성(金瑞星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안(扶安). 1544년 중종 비가 죽자 사재감 정(司宰監正)이 되어 일을 처리함.
1497~154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서현(金舒玄)
신라 진평왕(眞平王) 때의 귀족ㆍ장군. 김유신(金庾信)의 아버지. 629년(진평왕 51) 고구려의 낭비성(娘臂城:충청북도 청원)을 함락시킴.
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김석(金錫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, 1519년(중종 14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나 벼슬하지 않음.
1495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양산ㅣ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석(金錫)@통일신라
신라 제56대 경순왕(敬順王)의 다섯째 아들. 의성군(義城君)에 봉해져 의성김씨(義城金氏)의 시조가 됨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의성 , 인명>왕실>왕자
-
김석량(金錫良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1516년(중종 1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했으나 벼슬하지 않음. 묘지명(墓誌銘)이 조식(曺植)의 《남명집(南冥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석옥(金錫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부령(扶寧)으로, 사도시 첨정(司䆃寺僉正) 김직손(金直孫)의 아들. 곧은 행실로 인망이 높아 김안국(金安國)이 그를 군자(君子)라 하여 조정에 천거함.
1477~153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석윤(金錫胤)
조선 전기의 문신. 풍덕(豊德)의 수령을 역임했으며, 심의(沈義)와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석주(金錫胄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으로, 김좌명(金佐明)의 아들. 외척으로 남인(南人)을 배척하는 데 앞장섰으며 숙종의 묘정에 배향됨.
1634~1684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왕실>인척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석진(金奭鎭)
조선 철종(哲宗)~순종(純宗) 때의 문신. 의열사(義烈士)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을사조약(乙巳條約)이 체결되자 오적신(五賊臣)의 처형을 주장하였으며,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음독 자결함.
1843~1910 한국>근대ㅣ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석진(金碩振)
조선 후기의 문신. 상원군(商原君)에 추봉된 김사(金泗)의 아들로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를 지내고 상성군(商城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석홍(金錫弘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안(扶安)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화를 입은 기묘당인(己卯黨人) 중의 한 명.
1493~156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선(金瑄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창(咸昌). 전주 부윤(全州府尹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선(金璿)
고려 후기의 문인. 임춘(林椿)과 교유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김선(金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원주 목사(原州牧使)를 지낸 김태경(金泰卿)의 아들. 대사성(大司成)ㆍ호조 참판(戶曹參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선궁(金宣弓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고려 태조(太祖)가 선궁(宣弓)이란 이름을 하사함.
922~?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선초(金善初)
조선 전기의 문신. 《구암집(龜巖集)》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안악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선치(金先致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홍건적(紅巾賊)을 평정시켜 일등공신(一等功臣)이 되어 그 형상이 벽상(壁上)에 그려짐.
1318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김선평(金宣平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무신ㆍ공신. 신안동김씨(新安東金氏)의 시조. 권행(權幸)ㆍ장길(張吉) 등과 함께 태조를 도와 후백제의 견훤(甄萱)을 고창군에서 대파하는 데 공을 세워 아부공신(亞父功臣)을 받음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기타인명>공신
-
김섬(金贍)
고려 후기의 문신. 문하주서(門下注書)를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성(金成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역적. 판사(判事) 역임. 임중보(林仲甫)가 꾸민 역모에 연좌되어 참수 당함.
?~1356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기타인명>역적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