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김성(金城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김종손(金宗孫)의 아들로, 오위 부장(五衛副將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성구(金成九)
조선 후기의 유학. 《백담집(栢潭集)》속집(續集)을 간행할 때 이유수(李裕垂)와 함께 백담(栢潭) 구봉령(具鳳齡)의 시문(詩文)을 모으고 정리하여 김굉(金㙆)의 서문을 받는 등 실무를 담당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성구(金聲久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추길(金秋吉)의 아들로, 강원도 관찰사 등을 지냄. 안동(安東)의 백록사(栢麓祠)에 배향(配享)됨.
1641~170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성벽(金成壁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경기전 참봉(慶基殿參奉) 김송무(金松茂)의 아들이며, 김응회(金應會)의 아버지로, 광양 훈도(光陽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성벽(金成璧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성원(金成遠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김인후(金麟厚)와 임억령(林億齡)의 문인(門人). 동복 현감(同福縣監)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(縣民)을 잘 보호하였으나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.
1525~159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창평ㅣ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문사>학자
-
김성원(金聲遠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조헌(趙憲)의 문인으로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금산 전투(錦山戰鬪)에서 전사함.
1565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진산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성익(金聖翼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김시찬(金是瓚)의 아버지로, 1756년(영조 32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733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성일(金誠一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으로, 청계(靑溪) 김진(金璡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고제(高弟)로, 주리론(主理論)을 계승하여 영남학파의 중추 구실을 함. 이황(李滉)의 《자성록(自省錄)》ㆍ《퇴계집(退溪集)》 등을 편집ㆍ간행함.
1538~159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김성장(金成章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선조(先祖)인 동촌(桐村) 김린(金麟)이 은거했던 곳에 동백정(冬栢亭)을 세웠는데, 박광전(朴光前)이 쓴 〈동백정기(冬栢亭記)〉가 《죽천집(竹川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유학
-
김성지(金誠之)
조선 전기의 문인. 남효온(南孝溫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문인
-
김성휘(金成輝)
조선 중종(中宗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훈벌가문(勳閥家門)이었으나 생활이 어려워 어려서부터 치산(治産)에 힘써 당대의 거부(巨富)가 되고, 임진왜란 때 군량미를 조달한 공으로 형조 참의(刑曹參議)를 지냄.
1535~162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세걸(金世傑)
조선 전기의 문신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으로 기묘사화(己卯士禍)에 연루되어 관산(冠山)으로 유배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세규(金世奎)
조선 후기의 문인.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(門人)으로, 정경세(鄭經世)ㆍ이수광(李睟光) 등과 교유하고, 저서에 《우송집(友松集)》이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화순 , 인명>문사>문인
-
김세균(金世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호조 참판(戶曹參判)을 지낸 김익수(金益壽)의 아버지로, 1506년(중종 1년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참의(參議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세남(金世南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김종직(金宗直)이 현량과(賢良科)로 여러 번 천거했지만 출사하지 않음.
1462~1542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학자
-
김세량(金世良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진해(鎭海)ㆍ청도(淸道)의 현감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익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세렴(金世濂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군수 김극건(金克鍵)의 아들로, 광해군 때 폐모론(廢母論)을 주장하는 자를 탄핵하다가 유배됨. 인조반정(仁祖反正)으로 재기용되어 함경도 관찰사(咸鏡道觀察使) 등을 지내며 《근사록(近思錄)》ㆍ《소학(小學)》등을 간행함.
1593~164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김세묵(金世默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공조 참판(工曹參判) 김굉(金硡)의 아들로, 수의부위(修義副尉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김세문(金世文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의병장인 김면(金沔)의 아버지로, 경원 부사(慶源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