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민건(閔騫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원경왕후(元敬王后)의 족친(族親)이며 부사과(副司果) 민예달(閔禮達)의 아버지. 사헌부 대사헌(司憲府大司憲)ㆍ경기도 관찰사(京畿道觀察使) 등을 지냄.
?~146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왕실>인척ㅣ인명>관인>문신
-
민경복(閔慶福)
조선 전기의 문신. 백담(栢潭) 구봉령(具鳳齡)의 이제(姨弟)로 예문관(藝文館)에서 일직(日直)을 할 때 써준 시가 《백담집(栢潭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민경생(閔慶生)
고려 말기~조선 초의 문신. 우상시(右常侍)를 지낸 이정(李挺)의 사위이며, 직예문관(直藝文館)을 지낸 민설(閔渫)의 아버지로, 공안부 윤(恭安府尹)ㆍ예조 전서(禮曹典書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경익(閔景翼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적성 현감(積城縣監) 민우증(閔友曾)의 아들이며, 민보익(閔輔翼)의 형으로, 1481년(성종 12) 친시(親試)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(兵曹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계량(閔季良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봉선전 참봉(奉先殿參奉)을 지낸 민구(閔球)의 아들로, 내섬시 판관(內贍寺判官)ㆍ우봉 현령(牛峯縣令) 등을 지냄.
1499~157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공(閔公)@춘추전국(노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661~B.C.660. 노 나라 장공(莊公)과, 제(齊) 환공(桓公)의 여동생인 숙강(淑姜)의 아들. 장공 사후 세자인 반(般)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나, 경보(慶父)와 이모인 애강(哀姜)에 의해 살해됨.
?~B.C.660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민공(閔公)@춘추전국(송)
중국 춘추전국시대 송(宋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691~B.C.682. 장공(莊公)의 아들로, 노(魯) 나라와 여러 차례 교전을 치르었으며 대부(大夫) 남궁장만(南宮長萬)에 의해 시해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민공(閔貢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유학. 노병(老病)이 있는데다 집이 가난하여 날마다 저간(猪肝) 한 점씩만을 사먹었는데, 안읍 현령(安邑縣令)이 저간을 충분히 공급하자 안읍에 폐를 끼칠 수 없다며 고을을 떠나버린 고사가 《후한서(後漢書)》전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유학
-
민공규(閔公珪)
고려 명종(明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고종(高宗) 때의 학자 민인균(閔仁鈞)의 아버지.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에 이규보(李奎報)가 지어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광훈(閔光勳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부윤(府尹) 민기(閔機)의 아들이며, 민정중(閔鼎重)의 아버지. 병자호란 때 종묘서 영(宗廟署令)으로 원손(元孫)을 호위하였으며, 그 공으로 통정(通政)으로 승진하여 호조 참의(戶曹參議)가 됨.
1595~165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구(閔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1533년(중종 28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연안 부사(延安府使)를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구령(閔九齡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처사(處士)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구소(閔九韶)ㆍ민구연(閔九淵)ㆍ민구주(閔九疇)ㆍ민구서(閔九叙) 등 다섯 형제가 사화(士禍)로 벼슬길을 포기하고, 학행(學行)으로 이름을 떨침. 형제간의 우애가 깊어 기거를 같이 했으며, 점필재(佔畢齋)의 문하에서 배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문인
-
민귀서(閔龜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영천(榮川). 1524년(중종 19) 안동의 용수산(龍壽山)에 있는 절에서 이해(李瀣)ㆍ이황(李滉)ㆍ이수령(李壽苓) 등과 함께 완월하며 연구(聯句)를 겨룬 시가 이해(李瀣)의 《온계일고(溫溪逸稿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민귀손(閔龜孫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좌찬성(左贊成)을 지낸 민제인(閔齊仁)의 아버지. 이정은(李貞恩)ㆍ심정(沈貞) 등과 종유(從遊)하였고, 김굉필(金宏弼)에게 사사(師事)하였음.
1464~1522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규(閔奎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여흥(驪興). 감찰(監察)ㆍ한림(翰林) 민오(閔悟)의 아들이며, 정자(正字) 민선(閔瑄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민기(閔箕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.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당대의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.
1504~156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기문(閔起文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권신 김안로(金安老)를 비방하다 덕산에 장류되었고, 봉성군(鳳城君)의 옥사에 연루되어 임천(林川)에 부처됨. 선조 때 대사성(大司成)ㆍ좌승지(左承旨)를 역임함.
1511~157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대생(閔大生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중립(閔中立)의 아들이며, 장령(掌令) 민효환(閔孝懽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민효열(閔孝悅)의 아버지로 소윤(小尹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덕봉(閔德鳳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의서 습독관(醫書習讀官)을 지낸 민우필(閔友弼)의 아들. 1573년(선조 6) 명(明) 나라 사신을 영접하기 위하여 나갔다가 객사(客舍)에서 죽음.
1514~157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암 , 인명>관인>문신
-
민무구(閔無咎)
조선 태조(太祖)~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여흥부원군(驪興府院君) 민제(閔霽)의 맏아들이며, 태종비 원경왕후(元敬王后)의 동생. 동생 민무질(閔無疾) 등과 함께 태종의 외척이며, 정사(定社)ㆍ좌명(佐命)의 두 공신을 겸하였으나, 협유집권(挾幼執權)의 혐의로 참화를 당함.
?~141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