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민세정(閔世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여성군(驪城君) 민무질(閔無疾)의 증손. 유일(遺逸)로 천거되어 현감을 지냈고, 기묘사화 때 파출(罷黜)되었다가 함경 도사(咸鏡都事)에 발탁됨.
1471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손(閔損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 어릴 때 계모 밑에서 자랐는데, 공문십철(孔門十哲) 중에서 효행(孝行)으로 이름이 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민수원(閔壽元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1511년(중종 6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, 군기시 정(軍器寺正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수천(閔壽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문장에 능하여 사유(師儒)의 직임을 오랫동안 담당하였으며, 강원도 관찰사ㆍ황해도 관찰사ㆍ대사성 등을 역임함.
?~153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순(閔純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흥(驪興). 신광한(申光漢)ㆍ서경덕(徐敬德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향리에서 후진 교육에 힘씀.
1519~159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민순량(閔純良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봉선전 참봉(奉先殿參奉) 민구(閔球)의 아들이며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민준(閔濬)의 아버지로, 1528년(중종 2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개령 현감(開寧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순손(閔順孫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통선랑(通善郞) 민화(閔和)의 아들로, 1447년(세종 29) 친시(親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사인(舍人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시원(閔蓍元)
조선 전기의 유학. 온계(溫溪) 이해(李瀣)와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큰 형인 충순위(忠順衛) 이잠(李潛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민시중(閔時中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종친부 전첨(宗親府典籤)을 지낸 민총(閔叢)의 아들. 여주 목사(驪州牧使)ㆍ수원 부사(水原府使)를 지냈으며, 《백담집(柏潭集)》에 구봉령(具鳳齡)이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1519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시중(閔蓍重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민광훈(閔光勳)의 아들이며, 좌의정(左議政) 민정중(閔鼎重)ㆍ여양부원군(驪陽府院君) 민유중(閔維重)의 형.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으로,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냈고, 학행(學行)으로 이름이 남.
1625~167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신(閔伸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냈으며, 김종서(金宗瑞)와 함께 단종을 보호하다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안평대군(安平大君) 일파라 하여 수양대군(首陽大君)에 의해 참살됨.
?~145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안손(閔安孫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조선 개국공신 정총(鄭摠)의 손서(孫壻)로, 중군 사직(中軍司直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민안인(閔安仁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증문하찬성사(贈門下贊成事) 민선(閔璿)의 아들. 고려 말에는 제고(制誥)에 기여하였으며, 조선 개국 초에는 유학 진흥과 의례의 정비, 보급에 기여함. 권근(權近)과 교유함.
1343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애왕(閔哀王)
신라 제44대 국왕. 재위 838~839. 선강대왕(宣康大王)에 추봉된 김충공(金忠恭)의 아들로, 희강왕(僖康王)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김우징(金祐徵)ㆍ장보고(張保皐) 등의 토벌군과 싸우다가 살해됨.
817~839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민여로(閔汝老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재문(閔在文)의 아들로, 1642년(인조 20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장령(掌令)ㆍ목사(牧使) 등을 지냄.
1598~167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여신(閔汝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문천 군수(文川郡守) 민사용(閔思容)의 아들로, 1594년(선조 2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고산 찰방(高山察訪) 등을 지냄.
1554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여익(閔汝翼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(田結)과 노비를 받았으며, 육조(六曹)의 판서(判書)를 두루 역임했음.
1360~143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민여임(閔汝任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명(明) 나라 장수의 접반관(接伴官)을 지냄.
1559~1627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영(閔寧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강성 부정(江城副正) 이견손(李堅孫)의 장인. 고성 현령(固城縣令)ㆍ삼척 도호부사(三陟都護府使) 등을 지냄.
1447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영모(閔令謨)
고려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한림학사(翰林學士) 민인균(閔仁鈞)의 조부(祖父)이고 복흥군(福興君) 민종유(閔宗儒)의 고조부(高祖父)로, 문하시랑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 등을 지냄.
1115~119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