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민오(閔悟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호례(閔好禮)의 아들로, 1444년(세종 26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감찰(監察)ㆍ한림(翰林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우수(閔遇洙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흥(麗興)으로, 충문공(忠文公) 민진후(閔鎭厚)의 아들. 김창협(金昌協)ㆍ권상하(權尙夏)의 문인으로, 신임사화(辛壬士禍)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학업에 전념함.
1694~175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민우증(閔友曾)
조선 단종(端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석(閔釋)의 아들로, 1453년(단종 1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서부 영(西部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우필(閔友弼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미(閔敉)의 아들이며, 사인(舍人) 민덕봉(閔德鳳)의 아버지로, 의서 습독관(醫書習讀官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원(閔㥳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1498년(연산군 4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우부승지를 지냈음. 충청도 관찰사를 지낸 민사건(閔師騫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유경(閔有慶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인목대비(仁穆大妃) 폐모론(廢母論)을 반대하고, 이괄(李适)의 난(亂) 때 행재소(行在所)에 호종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나 곧 복직되어 예빈시 정(禮賓寺正)ㆍ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65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유의(閔由誼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충선왕 때 첨의정승(僉議政丞)을 지낸 민지(閔漬)의 증손으로, 증문하찬성사(贈門下贊成事) 민선(閔璿)의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유중(閔維重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숙종의 비 인현왕후(仁顯王后)의 아버지로 남인(南人)이 집권할 때 흥해(興海)로 유배되었다가, 남인이 실각하자 금위영(禁衛營)의 창설을 주도하여 병권과 재정권을 모두 관장함.
1630~1687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민응기(閔應祺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광해군(光海君)의 사부(師傅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민응서(閔應瑞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송인수(宋麟壽)와 함게 동경계(同庚契)를 만들어 교유했고, 평안도 병마절도사ㆍ제주 목사(濟州牧使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99~?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민인균(閔仁鈞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흥(驪興). 문하 평장사(門下平章事) 민공규(閔公珪)의 아들로, 1242년(고종 29) 국자시(國子試)의 감시(監試), 1248년(고종 35) 태복경(大僕卿)으로 동지공거(同知貢擧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민인백(閔仁伯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麗興). 성혼(成渾)의 문인으로 기축옥사(己丑獄事)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되었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황주 목사(黃州牧使)로 임진강(臨津江)을 지킴.
1552~162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민자방(閔子芳)
조선 제6대 성종(成宗)의 부마. 본관은 여흥(驪興). 현령(縣令)을 지낸 민종원(閔宗元)의 아들로, 성종의 다섯째 딸인 경숙옹주(敬淑翁主)와 혼인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왕실>인척
-
민재문(閔在汶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형조 좌랑(刑曹佐郞)을 지낸 민천부(閔天符)의 아들. 고청(孤靑) 서기(徐起)의 문인.
1565~162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적(閔頔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충렬왕(忠烈王)이 국선(國仙)이라 불렀으며, 대사헌(大司憲)으로 정조사(正朝使)가 되어 원(元) 나라에 다녀온 뒤 여흥군(驪興君)에 봉해졌음.
1269~1335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전(閔荃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홍문관 전한(弘文館典翰)ㆍ승문원 판교(承文院判校) 등을 지내고, 1550년(명종 5)에 봉상시 정(奉常寺正)으로 통례원 좌통례(通禮院左通禮) 안위(安瑋)와 함께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의 주해관(註解官)에 임명되어 주해 작업을 맡음.
1499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절서원(愍節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기도 과천(果川)에 건립한 서원. 1692년(숙종 18) 사액되었으며, 박팽년(朴彭年)ㆍ성삼문(成三問)ㆍ이개(李塏)ㆍ유성원(柳誠源)ㆍ하위지(河緯地)ㆍ유응부(兪應孚) 등 사육신(死六臣)을 배향함. 현재 서울시 동작구(銅雀區) 노량진동(鷺梁津洞)에 속함.
1681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과천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민정(閔貞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참군(參軍) 민징원(閔澄源)의 아들이며, 한성부 좌윤(漢城府左尹) 민상안(閔祥安)의 아버지. 1450년(문종 즉위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장례원 판결사(掌隷院判決事)ㆍ원주 목사(原州牧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정중(閔鼎重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麗興)으로,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민광훈(閔光勳)의 아들.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으로 직언(直言)을 잘했는데,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유배되어 죽음.
1628~16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제(愍帝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제4대 황제. 재위 313~316. 효왕(孝王) 사마안(司馬晏)의 아들. 전조(前趙)의 무제(武帝)에게 끌려간 회제(懷帝)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지만, 즉위 4년 만에 진왕(秦王) 유요(劉曜)의 군대에 항복하여 서진(西晉)의 마지막 황제가 됨.
300~317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