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민제(閔帝)
중국 오대십국(五代十國) 후당(後唐)의 제3대 왕. 재위 933~934. 후당 명종(明宗)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지만 1년 만에 사망함.
?~934 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민제(閔霽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조선 태종의 장인. 고려 말에 여러 요직을 거치고 조선 개국 후 문하우정승(門下右政丞)ㆍ좌정승(左政丞)을 지냄.
1339~140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제인(閔齊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전적(典籍)을 지낸 민귀손(閔龜孫)의 아들. 윤원형(尹元衡)에게 의부(依付)해 을사사화(乙巳士禍)를 일으켜 윤임(尹任) 등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.
1493~154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종빈(閔宗彬)
조선 전기의 유학. 설월당(雪月堂) 김부륜(金富倫)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민종원(閔宗元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여천위(驪川尉) 민자방(閔子芳)의 아버지로, 현령(縣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종유(閔宗儒)
고려 원종(元宗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충렬왕(忠烈王) 때 삼사우윤(三司右尹)ㆍ전법판서(典法判書)ㆍ감찰대부(監察大夫)를 거쳐 찬성사(贊成事)가 되었으며, 충숙왕 때 복흥군(福興君)에 봉해짐.
1245~132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준(閔濬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麗興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선조(宣祖)를 의주까지 호종(扈從)한 공으로 호성 원종공신(扈聖原從功臣)에 녹훈되었고, 청렴한 공직자로 청백리에 선록(選錄)됨.
1532~161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민지(閔漬)
고려 원종(元宗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1266년(원종 7)에 문과(文科)에 장원급제하여 지후(祗候)가 되었고, 충선왕 때 첨의정승(僉議政丞)에 이르러 사직하였음. 충숙왕 때 다시 수정승(守政丞)이 되고 여흥군(驪興君)에 봉하여졌음.
1248~1326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진원(閔鎭遠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여양부원군(驪陽府院君) 민유중(閔維重)의 아들이며, 숙종 비(妃) 인현왕후(仁顯王后)의 오빠이자 우참찬을 지낸 민진후(閔鎭厚)의 동생으로, 소론을 배격했던 노론의 거두.
1664~1736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진후(閔鎭厚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여양부원군(驪陽府院君) 민유중(閔維重)의 아들이며, 숙종 비(妃) 인현왕후(仁顯王后)의 오빠이자 좌의정을 지낸 민진원(閔鎭遠)의 형. 판의금부사(判義禁府事)ㆍ예조 판서(禮曹判書)ㆍ우참찬(右參贊) 등을 지냄.
1659~1720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질(閔質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정언(正言) 민회현(閔懷賢)의 아버지로, 내금위 부사정(內禁衛副司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예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창수(閔昌洙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좌의정(左議政) 민진원(閔鎭遠)의 아들이며, 민형수(閔亨洙)ㆍ민통수(閔通洙)의 형. 1714(숙종 4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, 동몽교관(童蒙敎官)ㆍ세자익위사 부솔(世子翊衛司副率) 등을 지냄.
1685~174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천부(閔天符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재문(閔在汶)의 아버지로, 1558년(명종 13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형조 좌랑(刑曹佐郞) 등을 지냄.
1531~156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총(閔叢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계(閔季)의 아들이며, 여주 목사(驪州牧使) 민시중(閔時中)의 아버지로, 종친부 전첨(宗親府典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충원(閔忠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1562년(명종 17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한 후 허봉(許篈)ㆍ최경창(崔慶昌) 등과 독서당(讀書堂)에 간택되었으며, 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ㆍ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 등을 지냄.
1541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칭도(閔稱道)
고려 전기의 문신. 중국 농서현에서 계출된 성씨로 공자(孔子) 제자인 민손(閔損)의 후손이며, 사신으로 왔다가 귀화함. 여흥에 정착하여 민씨의 시조(始祖)가 됨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민통수(閔通洙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좌의정 민진원(閔鎭遠)의 아들. 노론계의 집안 출신으로 영조(英祖)의 탕평책(蕩平策)에 거슬리는 논란을 자주 제기하였으나, 관료생활은 깨끗했고 좋은 정책을 제시하기도 했음.
1696~174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학수(閔鶴壽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여흥(驪興). 우통례습정(右通禮習靜) 민순(閔純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민해(閔解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호문(閔好問)의 아들이며, 참판(參判) 민사건(閔師騫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민현(閔玹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여흥(驪興). 대제학 첨의정승(大提學僉議政丞) 민지(閔漬)의 손자이며, 호조 판서(戶曹判書) 민여익(閔汝翼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