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민형남(閔馨男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좌찬성(左贊成) 민효증(閔孝曾)의 증손이며, 풍저창 수(豊儲倉守) 민복(閔福)의 아들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우찬성(右贊成) 등을 지냄. 1613년(광해군 5) 익사(翼社)ㆍ형난(亨難)의 두 공신에 책록(策錄)됨.
1564~165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형수(閔亨洙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좌의정(左議政) 민진원(閔鎭遠)의 아들로, 영조의 탕평책(蕩平策)에 어긋난 언행을 함으로써 정미환국(丁未換局) 이후 실각한 아버지의 신원(伸寃)을 위하여 이광좌(李光佐)를 소척하려 함.
1690~174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회빈강씨(愍懷嬪姜氏)
조선 제16대 인조(仁祖)의 아들 소현세자(昭顯世子)의 빈(嬪)으로, 강석기(姜碩期)의 딸. 병자호란(丙子胡亂) 후 심양(瀋陽)에 볼모로 갔다가 돌아와 역모로 몰려 사사됨.
1611~164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세자빈
-
민회삼(閔懷參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고부(姑夫)인 송현수(宋玹壽)가 권완(權完)과 모반하였다는 무고를 받자 이에 연루되어 제주도로 좌천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회현(閔懷賢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현량과(賢良科)를 거쳐 관직에 진출하였으나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파방(罷榜)되어 고향으로 돌아가 여생을 마침.
1472~154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예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민효열(閔孝悅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외읍(外邑)의 공물을 대납한 일로 폐고불서(廢錮不敍)에 처해졌다가 서용(敍用)되었으며, 세조(世祖)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됨.
1405~1482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민효원(閔孝源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여흥(驪興).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 민회삼(閔懷參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민효증(閔孝曾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경연(經筵)의 필요성 등을 건의하고, 사창(社倉)을 설치하여 민폐(民弊)를 줄일 것을 주장하였으며,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됨.
1448~151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민효환(閔孝懽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소윤(小尹) 민대생(閔大生)의 아들이며, 민효열(閔孝悅)의 형. 1420년(세종 2) 식년시(式年試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며, 장령(掌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휘(閔暉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형손(閔亨孫)의 아들이며, 홍문관 직제학(弘文館直提學) 민수천(閔壽千)ㆍ집의(執義) 민수원(閔壽元)의 아버지. 1479년(성종 10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사헌부 대사헌(司憲府大司憲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휘(閔暉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형손(閔亨孫)의 아들이며, 홍문관 직제학(弘文館直提學) 민수천(閔壽千)ㆍ집의(執義) 민수원(閔壽元)의 아버지. 1479년(성종 10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사헌부 대사헌(司憲府大司憲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흥(閔興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촉(閔矗)의 아들이며, 함경 도사(咸鏡都事) 민세정(閔世貞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민희로(閔希老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민석(閔碩)의 아들이며, 연안 부사(延安府使) 민구(閔球)의 아버지로, 용양위 부사용(龍驤衛副司勇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희순(閔希舜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연안 부사(延安府使) 민구(閔球)의 생부이며, 민경(閔瓊)의 아버지. 활인서 별제(活人署別提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밀산세고(密山世稿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박계현(朴啓賢)의 시문집. 현전하지 않음. 유근(柳根)의 시문집인 《서경집(西坰集)》에 〈밀산세고서(密山世稿序)〉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밀성군(密城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다섯 번째 서자. 신빈김씨(愼嬪金氏)의 소생으로, 총명과 지혜가 뛰어나 세종의 남다른 사랑을 받았으며, 익대공신(翊戴功臣)과 좌리공신(佐理功臣) 에 책록됨.
1430~147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왕자
-
밀양(密陽)
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부산과 대구의 중간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.
경상도>밀양 , 지명>행정지명
-
밀양박씨(密陽朴氏)
박혁거세(朴赫居世)를 시조왕(始祖王)으로 삼고, 경명왕(景明王)의 맏아들인 밀성대군(密城大君) 박언침(朴彦忱)을 중시조(中始祖)로 하는 성씨. 박씨의 종가(宗家).
한국>신라 , 경상도>밀양 , 인명>집단>성씨
-
밀양부읍지(密陽府邑誌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문신인 김이탁(金履鐸)이 밀양 부사(密陽府使)로 재임하고 있을 때 편찬한 경상남도 밀양부의 읍지. 1책. 필사본. 이 책의 후사본(後寫本)이 전함.
1781~178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문헌>서명
-
밀양읍지(密陽邑誌)
조선 정조(正祖) 때 밀양부(密陽府)에서 편찬한 읍지(邑誌). 밀양의 연혁(沿革)ㆍ지리(地理)ㆍ풍속(風俗) 등을 기록함. 《밀양부읍지(密陽府邑誌)》의 후사본(後寫本)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