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밀진(密津)
경상남도 밀양(密陽)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본래 신라의 추포현(推浦縣)이었는데 경덕왕(景德王) 때 밀진현(密津縣)으로 고쳐 밀성군(密城郡)에 예속시킴.
경상도>밀양 , 지명>행정지명
-
박가항(朴可恒)
고려 말~조선 초의 유학. 성석린(成石璘)의 《독곡집(獨谷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가흥(朴可興)
고려 우왕(禑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평양부원군(平陽府院君) 박천상(朴天祥)의 아들이며, 판육조사(判六曹事) 박석명(朴錫命)의 아버지로, 밀직 부사(密直副使)를 지냄. 이인임(李仁任)의 숙청과 이초(李初)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당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간(朴幹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판도판서(版圖判書)를 지낸 은산부원군(銀山府院君) 박영균(朴永均)의 아버지로, 평장사(平章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간(朴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파주 목사(坡州牧使) 박기(朴基)의 둘째 아들이며, 승문원 정자(承文院正字) 박양(朴讓)의 동생으로, 광주 목사(廣州牧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감(朴敢)
조선 전기의 유학.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《모재집(慕齋集》에 권은(權殷)ㆍ박수춘(朴壽椿)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(字)에 대한 〈자설(字說)〉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강(朴薑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좌의정 박은(朴訔)의 아들로, 대호군(大護軍) 등 여러 관직을 거치고,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됨.
?~146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개(朴漑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충주(忠州). 고산 현감(高山縣監)과 김제 군수(金堤郡守) 등을 역임하고 향리로 돌아가 여생을 마침.
1511~158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거겸(朴居謙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중추부동지사(中樞府同知事)ㆍ병마절도사(兵馬節度使) 등을 지냈으며 원종공신(原從功臣)ㆍ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됨.
1413~14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박거린(朴巨鱗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박눌(朴訥)의 아들로, 1504(연산군 10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장령(掌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거소(朴去疎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판육조사(判六曹事) 박석명(朴錫命)의 아들이며, 판돈녕부사(判敦寧府事) 박중선(朴仲善)의 아버지로, 부지돈녕부사(副知敦寧府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건(朴乾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전한(典翰)을 지낸 박융(朴融)의 아들로,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박건(朴楗)
조선 단종(端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박중손(朴仲孫)의 아들로,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됨.
1434~150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겸무(朴兼武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수안 군수(遂安郡守) 박준산(朴峻山)의 아들로, 1498년(연산군 4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장흥 부사(長興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겸산(朴兼山)
조선 전기의 문인. 홍귀달(洪貴達)의 《허백정문집(虛白亭文集)》에 그의 시축(詩軸)에 써 준 글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문인
-
박경(朴璟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예빈시 정(禮賓寺正)을 지낸 박응현(朴應鉉)의 아들로, 직장(直長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경(朴瓊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판삼사사(判三司事) 박충좌(朴忠佐)의 아들로, 한림제학(翰林提學)ㆍ판서(判書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경(朴經)
조선 태조(太祖)~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해(寧海). 음보(蔭補)로 벼슬에 나아가 대사헌(大司憲)ㆍ완산부 윤(完山府尹) 등을 지냄.
1350~141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경(朴耕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서예가. 정붕(鄭鵬)ㆍ박영(朴英)의 문인으로 교수청(校讐廳)의 사자생(寫字生)으로 있었는데, 유자광(柳子光)ㆍ박원종(朴元宗) 등 왕의 측근을 제거하려 한다는 밀고로 인해 참형(斬刑)에 처해짐.
?~150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박경길(朴敬吉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무신. 부사과(副司果)를 지낸 박몽필(朴夢筆)의 아들로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냈으며, 1655년(효종 6)에 종제(從弟) 박경지(朴敬祉)와 함께 박영(朴英)의 문집인 《송당집(松堂集)》을 간행함.
1577~165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