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경선(朴慶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으로, 장령(掌令) 박사공(朴思恭)의 아들. 장령(掌令)을 거쳐 이조 참의(吏曹參議)가 되고 광해군(光海君)의 학업을 지도하는 필선(弼善)을 겸하였음.
1552~?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경선(朴慶宣)
조선 후기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장사랑(將仕郞) 박이(朴頤)의 아들로, 무과에 급제하여 천성 만호(天城萬戶)를 지내고,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싸우다 순절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ㅣ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박경신(朴慶新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무과에 급제하여 선천 병마첨절제사(宣川兵馬僉節制使) 등을 지내고,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며, 청도(淸道)에서 두 아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.
1539~159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무신
-
박경실(朴景實)
조선 후기의 유학. 박여량(朴汝樑)ㆍ정덕옹(鄭德顒)과 교분이 두터웠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적을 꾸짖다 죽임을 당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경심(朴景諶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의흥(義興). 통례원 좌통례(通禮院左通禮) 박수검(朴守儉)의 아버지로, 좌승지(左承旨)에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흥 , 인명>문사>유학
-
박경여(朴慶餘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박팽년(朴彭年)의 9대손으로, 장릉 참봉(莊陵參奉)과 청하 현감(淸河縣監) 등을 지냄. 권화(權和)와 함께 《장릉지(莊陵誌)》를 편찬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경연(朴慶延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밀양(密陽). 성효재(誠孝齋) 박영(朴穎)의 맏아들이며, 임진왜란 때 청도(淸道)에서 창의(倡義)한 박경신(朴慶新)과 박경인(朴慶因)의 형으로, 참의(參議)에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경윤(朴慶胤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ㆍ의병장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맏형인 박경전(朴慶傳)과 함께 청도(淸道)에서 창의(倡義)하여 아익장(亞翼將)으로 전공을 세움.
1535~162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무신
-
박경인(朴慶因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의병장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종제(從弟)인 박경전(朴慶傳)과 함께 청도(淸道)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싸우다가 서지산(西芝山)에서 전사함.
1542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박경장(朴景章)
조선 전기의 유학. 설월당(雪月堂) 김부륜(金富倫)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경전(朴慶傳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청도(淸道)에서 창의(倡義)하여 곽재우(郭再祐)와 권응수(權應銖)의 양쪽 진영을 내왕하면서 많은 전공을 세움.
1553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경준(朴慶俊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장사랑(將仕郞) 박이(朴頤)의 넷째 아들이며, 박경전(朴慶傳)ㆍ박경윤(朴慶胤)ㆍ박경선(朴慶宣)의 동생. 저서에 《고경연의(古經衍義)》가 있음.
1568~159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문사>유학
-
박경중(朴景重)
조선 전기의 유학. 신응시(辛應時)의 《백록유고(白麓遺稿)》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경지(朴敬祉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선전관(宣傳官)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, 효종(孝宗)의 북벌계획에도 참여함.
1610~166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박계강(朴繼姜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여항시인(閭巷詩人). 본관은 밀양(密陽). 기묘명현(己卯名賢)의 한 사람인 김정(金淨)과 교유하고, 유희경(劉希慶)을 중심으로 구성된 풍월향도시인(風月香徒詩人)에 참여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문인
-
박계영(朴啓榮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예조 참판(禮曹參判) 박진원(朴震元)의 아들로, 1630년(인조 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97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계현(朴啓賢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권신 윤원형(尹元衡)의 청혼을 거절하여 변방으로 좌천되었고, 동인(東人)과 서인(西人)의 당쟁을 제지하려 하였으나 실패함.
1524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계후(朴繼厚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원(珍原). 성균 진사(成均進士) 박균(朴囷)의 아버지로, 참봉(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진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고(朴翶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죽성군(竹城君) 박영충(朴永忠)의 아들로, 대광보국숭록대부(大匡輔國崇祿大夫) 의정부 좌의정(議政府左議政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공달(朴公達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병조 좌랑(兵曹佐郞) 등을 지냈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사림(士林)에 화가 미치자 벼슬에서 물러나 삼가(三可) 박수량(朴遂良)과 함께 경학강의를 하며 여생을 보냄.
1470~?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