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공량(朴公亮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고령(高靈). 갑자사화 때 사형된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 박은(朴誾)의 아들. 글씨에 능하여 많은 금석문(金石文)을 남겼고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과 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편찬에도 참여함.
1494~155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박관(朴寬)
조선 전기의 문신. 유희춘(柳希春)과 친분이 있었는데, 유희춘이 진원 훈도(珍原訓導)로 추천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진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광영(朴光榮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윤씨(廢妃尹氏)의 추숭(追崇)을 반대하다 목천(木川)으로 유배되었으나,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나 복직됨.
1463~153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광옥(朴光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음성(陰城). 성리학(性理學)에 조예가 깊었고, 기대승(奇大升)ㆍ이이(李珥)ㆍ노사신(盧思愼) 등과 교유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고경명(高敬命)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킴.
1526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광우(朴光佑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박린(朴璘)의 아들로, 문장에 능하여 원접사(遠接使)를 수행하였고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연루되어 유배지인 동선역(洞仙驛)에서 죽음.
1495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광우(朴光佑)@고려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냈으며, 고양부원군(高陽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광전(朴光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진원(珍原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회덕 현감(懷德縣監) 등을 지내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과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.
1526~159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광정(朴光挺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춘천(春川)으로, 찬성사(贊成事) 박항(朴恒)의 아들. 중국 원(元) 나라 황실에서 숙위(宿衛)하여 소신교위(昭信校尉)ㆍ부만호(副萬戶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춘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광좌(朴光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1525년(중종 20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목사(牧使) 등을 지냈으며, 간재(艮齋) 최연(崔演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광필(朴光弼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박린(朴璘)의 아들로, 1519년(중종 14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목사(牧使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권(朴權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정언(正言) 등을 지냈으나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길성(吉城)으로 정배(定配)되고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해남(海南)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규(朴葵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좌의정(左議政) 박은(朴訔)의 아들이며, 홍주 판관(洪州判官) 박병균(朴秉鈞)의 아버지로, 형조 참판(刑曹參判)을 지냄.
?~143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균(朴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원(珍原). 참봉을 지낸 박계후(朴繼厚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문사>유학
-
박근원(朴謹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으로, 형조 참판을 지낸 박광영(朴光榮)의 손자. 병조 판서(兵曹判書) 이이(李珥)를 탄핵하다가 강계(江界)로 유배되기도 했으며, 처결수완이 뛰어나 대사헌을 여덟 번이나 지냄.
1525~158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근제(朴根悌)
조선 후기의 학자. 본관은 진원(珍原). 왕자 사부(王子師傅) 박광전(朴光前)의 아들이며 박근효(朴根孝)의 동생으로, 임진왜란 때 형 박근효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, 정유재란 때 아버지의 종사관(從事官)으로 출전함.
1560~163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진원 , 인명>문사>학자
-
박근효(朴根孝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원(珍原)으로, 성혼(成渾)ㆍ이이(李珥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아우 박근제(朴根悌)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, 전란이 끝난 뒤 동지들과 힘을 모아 서적을 발간하는 등 문교 진흥에 힘씀.
1550~160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기(朴基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음보(蔭補)로 벼슬하여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됨.
1464~153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기년(朴耆年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이조 판서를 지낸 박중림(朴仲林)의 아들로, 단종(端宗) 복위를 도모하다가 여러 형제들과 함께 대역죄로 처형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기린(朴麒麟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월성(月城). 홍성민(洪聖民)의 《졸옹집(拙翁集)》에 시 〈증월성소동박기린(贈月城小童朴麒麟)〉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박난(朴蘭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박원량(朴元亮)의 아들이고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으로, 1543년(중종 3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첨정(僉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