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려(朴欐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이자 손서(孫壻). 초명은 박량(朴樑)이었으나 이황이 고쳐 주었으며, 경기좌도 수운판관(京畿左道水運判官)을 지냈음.
1551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류(朴瑠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양(咸陽). 백담(栢潭) 구봉령(具鳳齡)의 셋째 아들인 오암(午巖) 구성윤(具誠胤)의 사위로, 우졸재(迂拙齋) 박한주(朴漢柱)가 죽자 동료들과 여표(閭表)를 세울 것을 계획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유학
-
박륙(朴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교리(校理)를 지낸 박문간(朴文幹)의 아들로, 1511년(중종 6) 별시(別試)로 급제하여 호조 참의(戶曹參議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률(朴栗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1558년(명종 13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ㆍ북평사(北評事)를 지냄. 송인(宋寅)의 《이암유고(頤庵遺稿)》에 송시(送詩)가 실려 있음.
1520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린(朴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전리(田里)로 돌아가 은거함.
1490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린(朴璘)@조선전기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박광우(朴光佑)의 아버지로, 1496년(연산군 2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 강예습독(講隷習讀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린(朴璘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공을 세워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되고,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도 의병으로 활약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박맹지(朴孟智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세조(世祖)의 부름을 사양하고 함양(咸陽)에 은거하면서 성리학을 연구하였으며, 성종 때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면(朴免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인. 권근(權近)ㆍ이숭인(李崇仁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박명응(朴明應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진사(進士) 박이경(朴以經)의 아들로, 1546년(명종 1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 박승임(朴承任)의 《소고집(嘯皐集)》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박몽필(朴夢筆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낸 박경길(朴敬吉)의 아버지로, 부사과(副司果)를 지냄.
한국>조선시대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박문간(朴文幹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1480년(성종 11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교리(校理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문빈(朴文彬)
고려 후기의 문인.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과 교유하였으며, 고려가 망하자 절개를 지키며 밀양(密陽)에 은거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문인
-
박문손(朴文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이조 좌랑(吏曹佐郞) 박성무(朴成武)의 아버지로, 통찬(通贊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문영(朴文楧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유학,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1606년(선조 39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 박이장(朴而章)이 덕천서원(德川書院)에 왔을 때 함께 원록(院錄)을 중수(重修)함.
1570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ㅣ경상도>산음 , 인명>문사>유학
-
박문요(朴文瑤)
고려 후기의 문신. 지제교(知制敎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죽산군(竹山君)에 추증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문충(朴文沖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밀양(密陽). 예조 참판(禮曹參判) 박진원(朴震元)의 아버지로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문효(朴文孝)
조선 전기의 유학. 임운(林芸)이 지은 시가 《첨모당집(瞻慕堂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미(朴楣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박중손(朴仲孫)의 아들로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
1433~149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미(朴瀰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정안옹주(貞安翁主)와 혼인하여 금양위(錦陽尉)에 봉해짐. 장유(張維)ㆍ정홍명(鄭弘溟)과 교유하였고 서도에 일가를 이룸.
1592~164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