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민(朴敏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태안(泰安). 정구(鄭逑)의 제자로, 《대학(大學)》과 《심경(心經)》에 뛰어남.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강우의병장(江右義兵將)으로 추대되었으나 화의가 성립되어 활동하지 못함. 진주 정강서원(鼎崗書院)ㆍ정산(鼎山) 향현사(鄕賢祀)에 제향됨.
1566~163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태안 , 인명>문사>학자
-
박민헌(朴民獻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(門人)으로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, 형조 참판(刑曹參判)ㆍ상호군(上護軍) 등을 지냄.
1516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배원(朴培源)
조선 전기의 문인.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박백응(朴伯凝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안(務安). 박사길(朴士吉)의 아버지로, 진원 현감(珍原縣監)을 지냄. 해촌사(海村祠)에 배향됨.
1525~158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번(朴璠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양(咸陽). 판삼사사(判三司事) 박충좌(朴忠佐)의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병균(朴秉鈞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좌의정을 지낸 박은(朴訔)의 손자이며, 형조 참판을 지낸 박규(朴葵)의 아들. 음보(蔭補)로 관직에 올라 사온서 령(司醞署令)ㆍ홍주 판관(洪州判官) 등을 지냄. 소고(嘯皐) 박승임(朴承任)의 증조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보로(朴普老)
고려 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심왕(瀋王) 탈탈불화(脫脫不和)의 왕위 등극 음모를 저지하였으며, 상원수(上元帥)가 되어 왜구를 물리침.
?~1380 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박복경(朴復卿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울산 군수(蔚山郡守)를 지낼 때 선정을 베풀고 태화루(太和樓)를 중수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울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붕린(朴鵬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박눌(朴訥)의 아들로, 1533년(중종 28)에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한림(翰林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붕정(朴鵬程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박산두(朴山斗)의 아버지로, 훈도(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빈학(朴贇鶴)
조선 전기의 유학. 소재(穌齋) 노수신(盧守愼)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사걸(朴士傑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이 자(字)를 지어 주면서 쓴 〈자사(字辭)〉가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사겸(朴思謙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임진왜란 때 박사제(朴思齊)ㆍ노순(盧錞)ㆍ윤탁(尹鐸) 등과 함께 삼가(三嘉)에서 의병을 일으켜 곽재우(郭再祐)와 함께 많은 공을 세움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삼가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사공(朴思恭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박경선(朴慶先)의 아버지로, 군수(郡守)를 지냄.
?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사관(朴思寬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죽산(竹山). 장흥 부사(長興府使)를 지낸 박겸무(朴兼武)의 손자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모친을 지키다 왜병에게 살해됨. 윤근수(尹根壽)의 《월정집(月汀集)》에 〈박감역소전(朴監役小傳)〉이 실려 있음.
1520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죽산ㅣ경기도>교하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사길(朴士吉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무안(務安).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 적이 호남을 침범하자, 박광전(朴光前)ㆍ송홍렬(宋弘烈) 등과 의병을 일으켜 동복(同福)에서 적을 크게 무찔렀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사눌(朴思訥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박성(朴惺)의 아버지로, 1549년(명종 4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현풍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사란(朴思襴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으로, 박처륜(朴處綸)의 아버지. 1438년(세종 20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藉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사심(朴思深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박경지(朴敬祉)의 아버지로,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였으며 호분위 우부장(虎賁衛右部將)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사우(朴思愚)
조선 명종(明宗) 때 문신. 본관은 태인(泰仁). 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 박수량(朴守良)의 아들로, 별제(別提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