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사종(朴嗣宗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참봉(參奉)을 지냈으며, 영동(永同)의 초강서원(草江書院)에 배향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사호(朴士豪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. 황정욱(黃廷彧)의 《지천집(芝川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길성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사화(朴士華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박세희(朴世熹)의 아버지로, 군자감 부정(軍資監副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사화(朴師和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전집(河西全集)》에 증시(贈詩)와 차운시(次韻詩) 등이 실려 있고, 노진(盧禛)의 《옥계집(玉溪集)》에 만시(輓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사희(朴士熹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함양(咸陽)으로, 훈도(訓導) 박형(朴馨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에만 전념함.
1508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박산두(朴山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고령(高靈). 훈도(訓導)를 지낸 박붕정(朴鵬程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상(朴祥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충주(忠州). 박지흥(朴智興)의 아들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폐위된 단경왕후(端敬王后)의 복위를 주장함.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474~153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상충(朴尙衷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친명책(親明策)을 주장하여 북원(北元)과 통하는 것을 반대하고, 친원파인 이인임(李仁任)ㆍ지윤(池奫)의 주살을 주장하여 귀양가다 죽음. 경사에 해박하고 글을 잘 지음.
1332~1375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서귀(朴瑞龜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박창도(朴昌道)의 아들로, 교수(敎授)를 역임함.
1546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서린(朴瑞麟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밀양(密陽).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된 박창도(朴昌道)의 아들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석명(朴錫命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정종(定宗)이 태종에게 선위(禪位)할 때 그 교서(敎書)를 전하였으며, 태종에게 황희(黃喜)를 천거함.
1370~140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선(朴瑄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아버지 박경인(朴慶因)과 함께 청도(淸道)에서 창의(倡義)하여 공을 세웠으며, 후에 경조우윤(京兆右尹)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음.
1571~161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선장(朴善長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무안(務安). 남몽오(南夢鰲)의 문인으로, 예안 현감(禮安縣監)ㆍ경상 도사(慶尙都事) 등을 지냄.
1555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성(朴惺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ㆍ의사(義士)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박사눌(朴思訥)의 아들이고 정구(鄭逑)의 문인. 임진왜란 때는 김성일(金誠一)의 참모로, 정유재란 때는 이원익(李元翼)의 참모로 크게 활약함.
1549~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성건(朴成乾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박언(朴彦)의 아들로, 1472년(성종 3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전적(典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성량(朴成亮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밀직부사(密直副使)를 지냈으며, 공민왕이 죽자 벼슬하지 않고 불사(佛事)에 전념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성무(朴成武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성번(朴成蕃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무장(茂長). 박윤신(朴允新)의 아버지로, 어모장군(禦侮將軍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성범(朴成範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고령(高靈). 이황(李滉)에게 청운(靑雲)이란 소자(小字)를 받았으며, 수직(壽職)으로 부호군(副護軍)을 지냄.
1568~165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
-
박성양(朴成陽)
고려 말~조선 초의 무신. 박윤후(朴允厚)의 아들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(門人)으로, 태조(太祖) 때 왜구를 물리치고, 세종(世宗) 때 이종무(李從茂)를 따라 대마도(對馬島)를 정벌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