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세거(朴世擧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의관(醫官). 《간이벽온방(簡易辟瘟方)》ㆍ《분문온역이해방(分門瘟疫易解方)》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《의림촬요(醫林撮要)》의 보정(補訂)에 참여함. 첨지중추원사(僉知中樞院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술인>의원
-
박세당(朴世堂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이조 참판 박정(朴炡)의 아들. 실학자로서 농촌생활에 토대를 둔 박물학(博物學)의 학풍을 이룩하였으며, 《사변록(思辨錄)》을 저술하여 주자학(朱子學)을 비판함.
1629~170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ㅣ전라도>남원ㅣ경기도>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세말(朴世末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세무(朴世茂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대사헌(大司憲) 박소립(朴素立)의 아버지로, 군자감 정(軍資監正) 등을 지내고 《동몽선습(童蒙先習)》을 저술함.
1487~15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세연(朴世延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문의(文義). 부제학(副提學)을 지낸 박윤경(朴潤卿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문의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세영(朴世榮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선조(宣祖) 때 좌찬성(左贊成)을 지낸 박대립(朴大立)의 부친. 이제신(李濟臣)의 《청강집(淸江集)》에 묘지명(墓誌銘)과 묘갈명(墓碣銘)이 실려 있음.
1480~155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세옹(朴世蓊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한성부 좌윤(漢城府左尹)으로 사은사(謝恩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옴.
1493~154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세정(朴世貞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고령(高靈). 이조 참의(吏曹參議)를 지낸 박점(朴漸)의 부친. 이이(李珥)의 《율곡전서(栗谷全書)》에 묘갈명(墓碣銘)이 실려 있음.
1492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세준(朴世𤎱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오랫동안 대간(臺諫)을 지냈으며, 송시열(宋時烈)과 김수항(金壽恒)의 신원을 요청함. 선조(宣祖) 때 상의원 정(尙衣院正)을 지낸 박응인(朴應寅)의 증손.
1634~1700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세채(朴世采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성리학자. 김상헌(金尙憲)ㆍ김집(金集)에게 수학하고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묘배향을 주장함. 예송논쟁(禮訟論爭) 때 기년설(朞年說)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.
1631~169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세평(朴世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1516년(중종 11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, 성균관 직강(成均館直講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세현(朴世賢)
조선 전기의 무신. 이황(李滉)의 조카사위. 무과(武科)에 급제하여 병마절도사(兵馬節度使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세호(朴世豪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성암(省菴) 김효원(金孝元)과 종유(從遊)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박세후(朴世煦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. 박사화(朴士華)의 아들로 승정원 동부승지(承政院同副承旨) 등을 역임하였으며, 1545년 하절사(賀節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옴.
1494~155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세훈(朴世勳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군자감 부정(軍資監副正) 박사화(朴士華)의 아들로, ‘주동효아(鑄洞孝兒)’로 불림. 조광조(趙光祖) 등이 별과(別科)에 천거하였으나 기묘사화(己卯士禍)가 일어나자 낙향함.
1488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세희(朴世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의 일파로 몰려 강계(江界)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.
149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소(朴昭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(門人)으로, 안음 현감(安陰縣監)에 제수되어 청렴한 치적을 보임.
1347~142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소(朴玿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양(咸陽). 함양부원군(咸陽府院君) 박충좌(朴忠佐)의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소(朴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, 조광조 등 신진사류(新進士類)와 더불어 왕도정치(王道政治) 구현을 위하여 힘씀.
1493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소(朴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충주(忠州). 개성 유수(開城留守)를 지낸 육봉(六峰) 박우(朴祐)와 기묘명현(己卯名賢) 눌재(訥齋) 박상(朴祥)의 조부로 은산 군사(殷山郡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