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소례(朴蘇禮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죽산(竹山). 경상우도 수군절도사(慶尙右道水軍節度使) 박지번(朴之蕃)의 아버지로, 병조 판서(兵曹判書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소립(朴素立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1563년(명종 18) 이조 좌랑(吏曹佐郞)으로 있을 때 척신 이량(李樑)과 사이가 나빠 대사헌 이감(李戡)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으나 심의겸(沈義謙)의 도움으로 복직됨. 선조 즉위에 공을 세워 대사성(大司成)ㆍ대사헌(大司憲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냄.
1514~158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소보(朴蘇甫)
조선 전기의 문인. 홍귀달(洪貴達)의 족형으로, 그가 엮은 《빙허루제(憑虛樓題)》의 서문이 홍귀달의 《허백정집(虛白亭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박소양(朴少陽)
고려 후기의 유학. 밀직대언(密直代言) 박윤문(朴允文)의 아들로 과거에 여러 번 낙방하고 중국으로 가서 주유(周遊)하였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소종(朴紹宗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유학 박눌(朴訥)의 아버지로, 사직(司直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수(朴受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휴암(休菴) 백인걸(白仁傑)의 문인이며,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과 교유하였음. 역학(易學)에 정통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학자
-
박수(朴秀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판전교시사(判典校寺事) 박상충(朴尙衷)의 아버지로, 밀직부사(密直副使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수검(朴守儉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의흥(義興). 박경심(朴景諶)의 아들이고, 조석윤(趙錫胤)ㆍ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으로, 통례원 좌통례(通禮院左通禮)를 지냄.
1629~169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제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수견(朴守堅)
조선 전기의 효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점필재(佔畢齋)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효행(孝行)으로 참봉(參奉)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 친상(親喪)에 시묘 3년 후에도 묘소를 떠나지 않자 고을 사람들이 묘소 앞에 모선정(慕先亭)을 짓고 그 일대를 모선(慕先)이라고 불렀다는 일화가 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박수경(朴守經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조지서 별좌(造紙署別坐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수량(朴守良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태인(泰仁). 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내고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ㆍ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함. 청렴결백하여 청백리에 뽑힘.
1491~155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수량(朴遂良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파직되어 강릉(江陵)으로 돌아가 시와 술로 여생을 보냄.
1475~1546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수림(朴秀林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읍취헌(挹翠軒) 박은(朴誾)의 조부(祖父)로, 교하 현감(交河縣監) 등을 역임함.
1419~147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수장(朴秀樟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현감(縣監)을 지낸 박형간(朴亨幹)의 아버지로, 어모장군(禦侮將軍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수춘(朴壽椿)
조선 전기의 유학.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《모재집(慕齋集》에 박감(朴敢)ㆍ권은(權殷)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(字)에 대한 〈자설(字說)〉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숙(朴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박경연(朴慶延)의 아들로, 임진왜란 때 숙부인 박경신(朴慶新)ㆍ박경인(朴慶因), 형제, 조카들과 함께 경상도 청도(淸道)에서 창의(倡義)하여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박순(朴淳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충주(忠州).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(門人)으로,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내고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 등과 교유하였으나, 서인(西人)으로 지목되어 탄핵을 받고 영평(永平) 백운산(白雲山)에 은거함.
1523~158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영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순충(朴純冲)
고려 인종(仁宗)~의종(毅宗) 때의 문신. 서리(胥吏) 출신으로 내시(內侍)에 임명되었다가 여러 관직을 거쳐 중서시랑평장사(中書侍郞平章事)로 치사하였음.
?~1162 한국>고려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숭원(朴崇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여 선조로부터 보검(寶劍)을 하사받고 도승지를 거쳐 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에 올랐음.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32~159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숭질(朴崇質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부윤(府尹) 박훤(朴萱)의 아들로, 1502년(연산군 8) 좌의정에 이르렀으나 일부러 낙마하여 등청하지 않다가 면직되었으며 중종반정(中宗反正) 이후 재등용됨.
?~150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