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승간(朴承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1540년(중종 35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성균관 사성(成均館司成)을 지냄.
1508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승건(朴承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진사(進士) 박형(朴珩)의 아들. 선조(宣祖) 때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소고(嘯皐) 박승임(朴承任)의 형으로, 찰방(察訪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승륜(朴承倫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진사(進士) 박형(朴珩)의 아들. 선조(宣祖) 때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소고(嘯皐) 박승임(朴承任)의 동생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승리(朴承李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죽산(竹山). 풍산 만호(豐山萬戶) 박원지(朴元智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승문(朴承文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반남(潘南). 선조(宣祖) 때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박승임(朴承任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승약(朴承爚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밀원부원군(密原府院君) 박건(朴楗)의 아들로, 한림(翰林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승언(朴承彦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1530년(중종 25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황해도(黃海道) 평산(平山)에 우거(寓居)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승원(朴承元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 박건(朴乾)의 아들이며 박하담(朴河淡)ㆍ박하청(朴河淸)ㆍ박하징(朴河澄)의 아버지로, 충순위 부사직(忠順衛副司直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승인(朴承仁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진사(進士) 박형(朴珩)의 아들. 선조(宣祖) 때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소고(嘯皐) 박승임(朴承任)의 동생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승임(朴承任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반남(潘南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심학(心學)과 성리학(性理學)을 깊이 연구하였으며, 영주(榮州)의 구산정사(龜山精舍)에 제향됨.
1517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승제(朴承制)
고려 후기의 문인. 김구용(金九容)의 《척약재학음집(惕若齋學吟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박승종(朴承宗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으로, 선교랑(宣敎郞) 박안세(朴安世)의 아들. 윤인(尹訒)ㆍ이인경(李寅卿) 등이 인목대비(仁穆大妃)를 죽이려 할 때 인목대비를 보호하였고, 폐모론(廢母論)을 반대함.
1562~162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승준(朴承俊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진사(進士) 박형(朴珩)의 아들. 선조(宣祖) 때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소고(嘯皐) 박승임(朴承任)의 형으로, 1543년(중종 3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시용(朴時庸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. 박흥생(朴興生)의 조부(祖父)로, 감찰규정(監察糾正)을 지냈으며, 운문관 대제학(右文館大提學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시행(朴始行)
조선 예종(睿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박중신(朴中信)의 아들이고, 병조 좌랑(兵曹佐郞)을 지낸 박공달(朴公達)의 아버지로, 장악원 정(掌樂院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시형(朴始亨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1459년(세조 5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승지(承旨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식(朴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박중원(朴仲元)의 아들로, 1528(중종 2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전집(河西全集)》에 별시(别詩)와 화답시(和答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신(朴伸)
조선 전기의 유학. 오건(吳健)의 《덕계집(德溪集)》에 증시(贈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신(朴信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운봉(雲峰). 운성부원군(雲城府院君) 박종우(朴從愚)의 아버지이며,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. 조선 개국 후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
1362~144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운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신동(朴信童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양(咸陽). 박중검(朴仲儉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