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신형(朴信亨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유호인(兪好仁) 등과 함께 낙동강(洛東江)에서 물놀이했던 내용이 《뇌계집(㵢谿集)》의 〈낙강범주시발(洛江泛舟詩跋)〉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심문(朴審問)
조선 태종(太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계유정난(癸酉靖難)으로 인해 조정에 출사하지 않고 단종(端宗)의 복위를 도모하다가, 성삼문(成三問) 등 육신(六臣)이 참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음독자살함.
1408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안경(朴安敬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반남(潘南). 박맹지(朴孟智)의 아버지로, 성균생원(成均生員)이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안성(朴安性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영의정 박원형(朴元亨)의 아들로, 영중추부사(領中樞府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안세(朴安世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병조 판서(兵曹判書) 박계현(朴啓賢)의 아들로, 품계(品階)가 자헌대부(資憲大夫)에 이르렀고 응원군(凝原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양(朴讓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1516년(중종 11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승문원 정자(承文院正字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양계(朴良桂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추밀원사(樞密院事)를 지냈으며, 민사평(閔思平)과 시문을 주고받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양좌(朴良佐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박이장(朴而章)의 아버지로, 사마시(司馬試)에 합격하였으나 과거를 폐하였으며 훗날 경기전 참봉(慶基展參奉)ㆍ승선(承宣) 등을 지냄.
1521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언(朴彦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양(咸陽). 전적(典籍) 박성건(朴成乾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언계(朴彦桂)
조선 전기의 문인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정여창(鄭汝昌)ㆍ박한주(朴漢柱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박언부(朴彦孚)
고려 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최충(崔冲)과 함께 태사(太師)를 지낸 후 문하시중(門下侍中)ㆍ도평의사(都評議事)에 이르렀으며, 밀성부원군(密城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언상(朴彦祥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문의(文義). 유학 박훤(朴萱)의 아버지로, 교수(敎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문의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언신(朴彦信)
신라 제54대 경명왕(景明王)의 셋째 아들. 속함대군(速咸大君)에 봉해짐. 함양박씨(咸陽朴氏)의 시조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함양ㅣ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왕자
-
박언침(朴彦忱)
통일신라 제54대 경명왕(景明王)의 첫째 왕자. 밀양박씨(密陽朴氏)의 중조(中祖)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밀양 , 인명>왕실>왕자
-
박여량(朴汝樑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삼척(三陟)으로, 졸재(拙齋) 노상(盧祥)의 문인. 정인홍(鄭仁弘)ㆍ정온(鄭蘊)ㆍ오장(吳長)ㆍ박이장(朴而章) 등과 교유하고, 지평(持平)ㆍ문학(文學) 등을 지냄.
1554~161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여룡(朴汝龍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면천(沔川)으로, 이이(李珥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행재소(行在所)를 호위하여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고, 1605년(선조 38) 선무 원종공신(宣武原從功臣)에 책록됨.
1541~1611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여주(朴汝柱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우의정을 지낸 박숭질(朴崇質)의 손자로, 1543년(중종 38)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하여 의금부 경력(義禁府經歷)을 지냄. 유희춘(柳希春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여헌(朴黎獻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(門人)으로, 사옹원 직장(司饔院直長)을 지냄.
1530~15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연(朴堧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음률가(音律家). 세종 때 율관(律管)을 만들어 편경(編磬)을 제작하는 등 조선 초기 음악 정비에 많은 공헌을 함. 왕산악(王山岳)ㆍ우륵(于勒)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(樂聖)으로 일컬어짐.
1378~145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영동 , 인명>예술인>음악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연(朴演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인. 남효온(南孝溫)ㆍ강응정(姜應貞) 등과 함께 소학계(小學契)를 만들어 《소학(小學)》을 강론하였으며, 향약(鄕約)을 만듦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