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연폭도(朴淵瀑圖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화가 정선(鄭歚)이 그린 그림. 박연폭포를 실제보다 두 배 가량 늘려 과장되게 그렸으며, 폭포 아래의 고모담(姑母潭)과 그 기슭의 범사정(泛槎亭)을 묘사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작품명
-
박연폭포(朴淵瀑布)
개성 북쪽의 천마산과 성거산 사이의 화강암 암벽에 걸쳐 있는 폭포 이름.
경기도>개성 , 지명>자연지명
-
박영(朴穎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청도(淸道)에서 창의(倡義)한 박경신(朴慶新)ㆍ박경인(朴慶因)의 아버지로, 참봉(參奉)을 지내고 형조 참의(刑曹參議)에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영(朴英)@고려
고려시대의 문신. 신라 제54대 경명왕(景明王)의 다섯째 아들인 사벌왕(沙伐王) 박언창(朴彦昌)의 11세손으로, 부정(副正)을 지냄. 충주박씨(忠州朴氏)의 시조.
한국>고려시대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영(朴英)@조선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ㆍ학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무과(武科)에 급제했으나 학문에 전념함. 성리학(性理學)뿐만 아니라 역학(易學)ㆍ천문(天文)ㆍ의술(醫術)에도 조예가 깊었음.
1471~154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무신
-
박영(朴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부호군(副護軍) 박훈(朴塤)의 아들로, 1538년(중종 33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함. 임당(林塘) 정유길(鄭惟吉)과 교유하였으며, 《임당유고(林塘遺稿)》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영균(朴永均)
고려 후기의 문신. 송은(松隱) 박익(朴翊)의 아버지로, 판도판서(版圖判書)와 재상(宰相)을 지냈으며, 응천군(凝川君)에 봉해졌다가 뒤에 은산부원군(銀山府院君)으로 추봉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영년(朴永年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박중림(朴仲林)의 아들이며, 박팽년(朴彭年)ㆍ박인년(朴引年)ㆍ박기년(朴耆年)ㆍ박대년(朴大年)의 아우로, 예문관 검열(藝文館檢閱) 등을 지냄. 아버지와 형들과 함께 단종(端宗) 복위운동을 도모하다가 처형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영덕(朴盈德)
조선 전기의 문인. 점필재(佔畢齋) 김종직(金宗直)과 교유하였으며, 시문(詩文)뿐만 아니라 무예(武藝)에도 뛰어났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문인
-
박영석(朴永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찰방(察訪) 박대임(朴大任)의 아버지로, 상서원 판관(尙瑞院判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영윤(朴永潤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선산 부사(善山府使) 박찬(朴璨)의 아들로, 이산 군수(理山郡守)ㆍ서산 군수(瑞山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영자(朴永滋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선산 부사(善山府使) 박찬(朴璨)의 아들로, 영암 군수(靈岩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영준(朴永俊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으로, 진위 현령(振威縣令)을 지낸 무숙(茂叔) 박조(朴稠)의 아들. 육조(六曹)의 판서(判書)를 번갈아 지냈으며, 좌찬성(左贊成)에 오름.
1510~157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영충(朴永忠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무신. 요동정벌(遼東征伐) 때 원수(元帥)로서 이성계(李成桂)의 우군(右軍)이 되어 출전하고 위화도회군(威化島回軍)을 지휘함.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추록(追錄)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박영형(朴永亨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조위(曺偉)ㆍ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온(朴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원(珍原). 예문관 직제학(藝文館直提學) 박희중(朴熙中)의 아버지로, 구례 감무(求禮監務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진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옹(朴顒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1568년(선조 1) 증광시(增廣試)에 급제하여 장단 부사(長湍府使)를 지냄.
1529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옹집(朴雍緝)
조선 전기의 유학. 하항(河沆)의 《각재집(覺齋集)》에 만시(挽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곤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용(朴墉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인종(仁宗)의 장인. 딸이 세자빈(世子嬪)에 책봉되자 종친부 전첨(宗親府典籤)이 되었고, 후에 금성부원군(錦城府院君)에 추봉됨.
1468~152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박용현(朴用賢)
조선 전기의 화가. 본관은 밀양(密陽). 구암(龜巖) 이정(李楨)이 지은 제시(題詩) 〈제화병(題畫屛)〉이 《구암집(龜巖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예술인>서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