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우(朴瑀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창의(倡義)하여 공을 세우고, 이괄(李适)의 난(亂)에 공을 세워 진무공신(振武功臣)에 책록됨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쌍령(雙嶺)에서 전사함.
1576~163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박우(朴祐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충주(忠州).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의 미움을 받았으나 소신을 굽히지 않았으며, 지방관을 지낼 때 선정(善政)을 베풀어 포상을 받음.
1476~154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ㅣ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운(朴蕓)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제자로,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하였으며, 여러 차례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1535~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운(朴雲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효자ㆍ학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박영(朴英)의 문인(門人). 이언적(李彦迪)ㆍ이황(李滉) 등과 교유하였으며, 효행이 뛰어나 선조(宣祖) 때 고향에 정문(旌門)이 세워짐.
1493~156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문사>학자
-
박운손(朴雲孫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어려서 최항(崔恒)과 같이 학문하였으며, 지평현(砥平縣)의 객사(客舍) 중건을 완수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지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원겸(朴元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안(務安). 1514년(중종 9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, 양근 군수(楊根郡守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1470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원경(朴元鏡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 때 공을 세워 호종공신(扈從功臣)에 책록되고, 공민왕과 왕비 사후 명복을 빌기 위해 짓는 광통 보제선사(廣通普濟禪寺) 공사를 감독함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박원경(朴原鏡)
고려 우왕(禑王) 때의 재신(宰臣). 현감(縣監)을 지낸 양신지(梁信之)의 처조부(妻祖父)임.
?~138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원근(朴元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무안(務安). 부호군(副護軍)을 지낸 박효순(朴孝順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지평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원기(朴元基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무안(務安). 부사직(副司直)을 지낸 박지몽(朴之蒙)의 아들이고, 호조 정랑(戶曹正郞)을 지낸 박전(朴全)의 아버지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해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원량(朴元亮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양(咸陽)으로, 첨정(僉正) 박난(朴蘭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원량(朴元良)@박흥문의아버지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유학인 박흥문(朴興門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원량(朴元良)@조선전기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와 함께 술을 마시며 지은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원령(朴元秢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박유정(朴惟精)의 아들로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내고, 정수강(丁壽崗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원응(朴源應)
조선 철종(哲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충주(忠州). 눌재(訥齋) 박상(朴祥)의 후손. 박상(朴祥)의 《눌재집(訥齋集)》을 중간(重刊)했으며, 1857년(철종 8)에는 박순(朴淳)의 《사암집(思菴集)》을 전주(全州)에서 중간(重刊)했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원정(朴元貞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연흥군(延興君) 박고(朴翺)의 아들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원종(朴元宗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중종반정(中宗反正)을 주도한 공으로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영의정(令議政) 등을 지냄.
1467~151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박원지(朴元智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유학 박승리(朴承李)의 아버지로, 풍산 만호(豊山萬戶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원형(朴元亨)
조선 세종(世宗)~예종(睿宗)의 문신. 세조(世祖) 때 좌익공신(佐翼功臣), 예종 때 익대공신(翊戴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영의정 등을 역임함.
1411~146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원후(朴原厚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청하 현감(淸河縣監) 박지(朴持)의 아버지로, 내섬윤(內贍尹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