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응천(朴應川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지제교(知製敎) 박소(朴紹)의 아들로, 대구 부사(大邱府使)ㆍ사재감 정(司宰監正) 등을 지냄.
?~15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응현(朴應鉉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 박린(朴嶙)의 아들로, 예빈시 정(禮賓寺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응훈(朴應勳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효자. 효성이 지극하여 1601년(선조 34) 정려(旌閭)를 받았으며, 황간(黃澗)의 송계서원(松溪書院)에 배향됨.
1539~159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박의(朴漪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좌참찬(左參贊) 박동량(朴東亮)의 아들로,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ㆍ교리(校理) 등을 지냈으며, 저서로 《중봉집(仲峰集)》이 있음.
1600~164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의영(朴義榮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예조 참의(禮曹參議) 박미(朴楣)의 맏아들이며, 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 박광영(朴光榮)ㆍ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 박증영(朴增榮)의 형으로, 병조 참의(兵曹參議) 등을 지냄.
1456~151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의장(朴毅長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무안(務安). 박세렴(朴世廉)의 아들이며, 김언기(金彦璣)의 문인으로 경사(經史)에 밝음. 임진왜란 때 많은 공적을 세웠으며 경상수사(慶尙水使)에 이름. 정충사(貞忠祠)ㆍ구봉정사(九峯精舍)에 제향됨.
1555~161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무안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의중(朴宜中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이색(李穡)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음. 철령위(鐵嶺衛) 철폐를 이룩하고 추성보조공신(推誠補祚功臣)에 책록됨.
1337~140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문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이(朴苡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밀성군(密城君) 박광영(朴光榮)의 넷째 아들로, 내자부정(內資副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이(朴頤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의병장인 박경전(朴慶傳)의 아버지로, 장사랑(將仕郞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이검(朴而儉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형 박이온(朴而溫)과 함께 공을 세워 순성군(順城君)의 작위(爵位)를 받았으며, 벼슬은 공조 판서(工曹判書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이경(朴以經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유학 박명응(朴明應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이온(朴而溫)@조선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철원 부사(鐵原府使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이온(朴而溫)@고려
고려시대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전중내급사(殿中內給事)를 역임하였음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이의(朴而誼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원(珍原). 의병장인 박광전(朴光前)의 아버지로, 1534년(중종 29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이장(朴而章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승지(承旨)를 지낸 박양좌(朴良佐)의 아들로, 노수신(盧守愼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김성일(金誠一)의 주청으로 종사관이 되어 활약하였고, 폐모론(廢母論)에 반대함.
1547~162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ㅣ경상도>성주ㅣ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이홍(朴以洪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함양(咸陽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하생으로, 현량과(賢良科)에 추천되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학자
-
박익(朴翊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학자. 고려 때 예부 시랑(禮部侍郞) 등을 지내고 왜구(倭寇)와 여진(女眞) 토벌에 전공을 세웠으나, 조선 개국 후 두문동(杜門洞)에 들어갔다가 밀양(密陽)의 송계(松溪)에 은거하여 저술에 전념함.
1332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인년(朴引年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집현전 교리(集賢殿校理) 등을 지냈으나, 단종복위운동(端宗復位運動)에 참가하였다가 처형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인량(朴寅亮)@고려전기
고려 문종(文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평산(平山). 사은사(謝恩使)로 송(宋) 나라에 가서 김근(金覲)과 함께 지은 《소화집(小華集)》을 간행하여 명성을 얻었으며, 참지정사(參知政事) 등을 지냄. 저서로 《고금록(古今錄)》ㆍ《수이전(殊異傳)》 등이 있음.
?~1096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인량(朴寅亮)@박진의아들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조식(曺植)과 이황(李滉)에게 수학하였으며,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고 가선대부(嘉善大夫)에 오름.
1546~163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단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