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인량(朴寅亮)@박자기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고령(高靈). 전옥서 주부(典獄署主簿)를 지낸 박자기(朴自基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인로(朴仁老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ㆍ문인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무공을 세우고 수문장(守門將) 등을 지냄. 가사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정철(鄭澈)ㆍ윤선도(尹善道)와 함께 조선의 3대 시가인(詩歌人)으로 불림.
1561~164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무신
-
박인석(朴仁碩)
고려 의종(毅宗)~희종(熙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형부 원외랑(刑部員外郞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경주(慶州) 초적(草賊)의 반란 진압 때 공을 세움.
1143~121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인수(朴仁壽)
고려 말~조선 초의 효자. 하륜(河崙)의 《호정집(浩亭集)》에 그의 효성을 읊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박인수(朴仁粹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유학 박천우(朴天祐)의 아버지로, 부장(部將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인을(朴仁乙)
고려 후기의 문신. 지간성군사(知杆城郡事)를 지냈으며, 이색(李穡)의 《목은문고(牧隱文稿)》에 그에게 지어준 자설(字說)이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간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인적(朴麟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성혼(成渾)ㆍ이해수(李海壽)ㆍ이제신(李濟臣)과 교유했으며, 둔전 판관(屯田判官) 등을 지냈음. 《우계집(牛溪集)》과 《약포유고(藥圃遺稿)》에 성혼ㆍ이해수의 편지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인효(朴仁孝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고령(高靈). 교리(校理)를 지낸 박문간(朴文幹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임종(朴林宗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지낸 박조년(朴兆年)의 아버지로, 상주 목사(尙州牧使)ㆍ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자기(朴自基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 박인량(朴寅亮)의 아버지로, 전옥서 주부(典獄署主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자영(朴自英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박진(朴稹)의 아들로, 1534년(중종 29) 식년시(式年試)와 1538년(중종 33) 탁영시(擢英試)에 급제하고, 정랑(正郞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장(朴莊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충목왕(忠穆王) 때 판삼사사(判三司事)를 지낸 박충좌(朴忠佐) 아버지로, 군부 총랑(軍薄摠郞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재중(朴在中)
고려 후기의 문신. 이색(李穡)의 《목은문고(牧隱文稿)》에 그에게 당호(堂號)의 기문(記文)으로 써 준 〈국간기(菊澗記)〉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재집(璞齋集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김뉴(金紐)의 시문집. 5권 4책. 잡저의 〈한중필담(閑中筆談)〉은 16세기의 정치ㆍ사회사 연구에 좋은 참고 자료가 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박쟁(朴崝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무신. 첨지중추원사(僉知中樞院事)ㆍ도총관(都摠管) 등을 지냄. 성삼문(成三問)ㆍ박팽년(朴彭年) 등과 단종의 복위를 꾀하며 세조ㆍ한명회(韓明澮)ㆍ권람(權擥)ㆍ정인지(鄭麟趾) 등을 죽이려고 모의했으나 김질(金礩)의 밀고로 체포되어 친국을 받고 사형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적(朴勣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청송(聽松) 성수침(成守琛)의 문인인 박종문(朴宗文)의 아버지로, 경주 판관(慶州判官)을 지냄.
?~154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전(朴全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안(務安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 박원기(朴元基)의 아들이자 광해군(光海君) 때 경상 도사(慶尙都事) 등을 지낸 박선장(朴善長)의 아버지로, 호조 정랑(戶曹正郞) 등을 지냄.
1514~155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전(朴琠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판삼사사(判三司事) 박충좌(朴忠佐)의 아들로, 지신사(知申事)를 지내고 함양군(咸陽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전지(朴全之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충선왕(忠宣王)이 세자일 때 시강(侍講)을 맡았으며, 수첨의찬성사(守僉議贊成事) 등을 역임함.
1250~1325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절문(朴切問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정난공신(靖難功臣) 밀산군(密山君) 박중손(朴仲孫)의 아버지로, 교서 정자(校書正字)를 지내고, 의정부 좌찬성(議政府左贊成)에 추증됨.
1390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