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점(朴漸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박세정(朴世貞)의 아들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쟁(黨爭)에 휘말려 삭탈관직 된 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.
1532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정(朴炡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좌참찬(左參贊) 박동선(朴東善)의 아들로, 인조반정에 참가하여 정사공신(靖社功臣)이 되고, 이조 참판(吏曹參判)ㆍ홍문관 부제학(弘文館副提學) 등을 지냄.
1596~163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정(朴珽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판삼사사(判三司事) 박충좌(朴忠佐)의 아들로, 찬성(贊成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제(朴濟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1583년(선조 16)에 상소를 올려 동인(東人) 김효원(金孝元)ㆍ김응남(金應南) 등을 탄핵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제가(朴齊家)
조선 정조(正祖)~순조(純祖) 때의 실학자. 시문 사대가(詩文四大家)의 한 사람으로, 박지원(朴趾源)ㆍ이덕무(李德懋)ㆍ유득공(柳得恭) 등과 함께 북학파(北學派)를 이룸. 저서에 《북학의(北學議)》ㆍ《정유고략(貞蕤稿略)》 등이 있음. 춘당대 무과(春塘臺武科)에 장원하여 오위장(五衛將)ㆍ영평 현감(永平懸監) 등을 지냄.
1750~180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ㅣ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무신
-
박제상(朴堤上)
신라 내물왕(奈勿王)~눌지왕(訥祗王) 때의 충신(忠臣). 고구려에 볼모로 간 복호(卜好)와 왜에 볼모로 간 미사흔(未斯欣)을 구해낸 후 왜에 붙잡혔으나 충절을 지키다가 박다(博多)에서 순국함. 영해박씨(寧海朴氏)의 시조.
363~419 한국>신라 , 경상도>영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제인(朴齊仁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조식(曺植)의 문하에서 최영경(崔永慶)ㆍ하항(河沆)ㆍ김면(金沔) 등과 함께 수학함. 군위 현감(軍威縣監)ㆍ제용감 판관(濟用監判官)을 지냄.
1536~161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제함(朴悌諴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충주(忠州).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 박형문(朴衡文)의 아버지로, 군기시 정(軍器寺正) 등을 지냄.
1403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조(朴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반남(潘南).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소고(嘯皐) 박승임(朴承任)의 아들로, 《소고집(嘯皐集)》에 박승임의 답서(答書)들이 실려 있음.
1551~158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ㅣ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조(朴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진위 현령(振威縣令)을 지냄.
1476~151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조(朴藻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밀성군(密城君) 박광영(朴光榮)의 맏아들이며 낙촌(洛村) 박충원(朴忠元)의 아버지로, 귀후서 별제(歸厚署別提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조(朴調)
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으로, 효행으로 천거되어 예조 정랑(禮曹正郞)을 지내고, 성리학을 연구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조년(朴兆年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시강원 설서(侍講院說書)와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역임함.
1459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종(朴琮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익대공신(翊戴功臣) 박지번(朴之蕃)의 장남으로, 호군(護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종구(朴宗球)
고려 후기의 유학. 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인 이원(李原)과 교유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종래(朴從來)
조선 전기의 유학. 회헌(晦軒) 박종원(朴宗元)의 후손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은율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종량(朴宗亮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고령(高靈). 박은(朴誾)의 아들이며, 참판(參判)을 지낸 박공량(朴公亮)의 아우임.
1503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종린(朴從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박눌(朴訥)의 아들로,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역임함.
1496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종문(朴宗文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죽산(竹山)으로, 경주 판관(慶州判官)을 지낸 박적(朴勣)의 아들. 청송(聽松) 성수침(成守琛)의 문인으로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과 교유함.
1512~156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ㅣ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종우(朴從愚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운봉(雲峰). 태종(太宗)의 딸인 정혜옹주(貞惠翁主)와 혼인하고,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참여하여 정난공신(靖難功臣)에 책록됨.
?~146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