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종원(朴宗元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은율(殷栗). 우찬성(右贊成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은율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주종(朴周鍾)
조선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함양(咸陽). 학문이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, 많은 저술을 남김.
1813~188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학자
-
박준(朴峻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의흥(義興). 승문원 판교(承文院判校)를 지낸 박한(朴翰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흥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준(朴浚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이조 판서(吏曹判書)를 지내고, 음률(音律)에 밝아 《악장가사(樂章歌詞)》를 지었다고 전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중검(朴仲儉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인. 본관은 함양(咸陽). 이의무(李宜茂)의 《연헌잡고(蓮軒雜稿)》에 그에게 보낸 여러 편의 차운시(次韻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문인
-
박중림(朴仲林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박팽년(朴彭年)ㆍ박인년(朴引年)ㆍ박기년(朴耆年)ㆍ박대년(朴大年)ㆍ박영년(朴永年)의 아버지로, 형조판서(刑曹判書) 등을 지냄. 단종(端宗) 복위운동을 도모하다가 자식들과 함께 처형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중선(朴仲善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이시애(李施愛)의 난을 평정하는 등 여러 차례 공을 세워 적개공신(敵愾功臣)ㆍ익대공신(翊戴功臣)ㆍ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됨.
1435~148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박중손(朴仲孫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수양대군(首陽大君)을 도와 김종서(金宗瑞)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(靖難功臣)에 책록되고, 좌참찬(左參贊)을 역임함.
1412~146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중신(朴中信)
조선 세종(世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박시형(朴始亨)의 아버지로, 영흥 판관(永興判官) 등을 지내다가 고향으로 돌아와서 강릉향교(江陵鄕校)를 중건함.
1390~1452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중원(朴仲元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 박식(朴植)의 아버지로, 부사직(副司直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중윤(朴仲允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지낸 양응정(梁應鼎)의 장인으로, 판관(判官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증영(朴增榮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예조 참의(禮曹參議) 박미(朴楣)의 셋째 아들이며, 병조 참의(兵曹參議) 박의영(朴義榮)ㆍ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 박광영(朴光榮)의 아우. 문장으로 유명하고, 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 등을 지냄.
1464~149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지(朴持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읍취헌(挹翠軒) 박은(朴誾)의 증조부로, 청하 현감(淸河縣監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지계(朴知誡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왕자사부(王子師傅)ㆍ동몽교관(童蒙敎官) 등에 임명되나 취임하지 않고, 인조반정(仁祖反正) 후 사헌부 지평((司憲府持平)을 지냄. 주자학에 조예가 깊고, 저서로 《잠야집(潛冶)》등이 있음.
1573~163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지남(朴智男)
조선 선조(宣祖) 때 무신ㆍ의병. 임진왜란 때 청도(淸道)에서 아버지 박경신(朴慶新)과 동생 박철남(朴哲男)과 함께 의병으로 활약하여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되고, 충추부 동지(中樞府 同知)를 지냄.
1565~162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지몽(朴之蒙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무안(務安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 박원기(朴元基)의 아버지로, 부사정(副司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안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지번(朴之蕃)
조선 예종(睿宗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남이(南怡)의 옥사(獄事)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(翊戴功臣)에 책록되고, 경상우도 수군절도사(慶尙右道水軍節度使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박지빈(朴之彬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군부 총랑(軍薄摠郞)을 지낸 박장(朴莊)의 아버지로, 위위시 윤(衛尉寺尹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지수(朴之秀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박지빈(朴之彬)의 아우이고, 추밀 원사(樞密院事) 박양계(朴良桂)의 조부로, 밀직 부사(密直副使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지술(朴知述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길주 목사(吉州牧使)를 지낸 박희립(朴希立)의 아들로, 백부 박대립(朴大立)에게 출계함. 자산 군수(慈山郡守)ㆍ부평 부사(富平府使) 등을 지내고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