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지원(朴趾源)
조선 영조(英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. 청(淸) 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북학파(北學派)의 영수로 이용후생(利用厚生)의 실학을 강조했으며,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(漢文小說)을 발표함.
1737~180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개성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지화(朴枝華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정선박씨(旌善朴氏)의 시조.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(門人)으로, 유(儒)ㆍ불(佛)ㆍ도(道)에 해박하고 특히 기수학(氣數學)에 뛰어남.
1513~1592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정선 , 인명>문사>학자
-
박지흥(朴智興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충주(忠州).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눌재(訥齋) 박상(朴祥)과 육봉(六峯) 박우(朴祐)의 아버지로, 세조(世祖)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여 은거함.
1411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진(朴晉)
고려 후기~조선 정종(定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완산(完山)으로, 직제학(直提學)인 최직지(崔直之)ㆍ최덕지(崔德之)의 외숙(外叔). 청도 군사(淸道郡事) 등을 지냈으며, 아버지가 죽자 여묘(廬墓) 3년을 지내 1398년(태조 7)에 정려(旌閭)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진(朴稹)
조선 중종(中宗) 때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교리(校理)를 지낸 박문간(朴文幹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식년시(式年試) 병과(兵科)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(兵曹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진(朴蓁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밀양(密陽). 원종공신(原從功臣) 박인량(朴寅亮)의 아버지로, 판결사(判決事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진(朴震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진경(朴晉慶)
조선 선조(宣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정구(鄭逑)와 장현광(張顯光)의 문인으로, 영숭전 참봉(永崇殿參奉)을 지내고, 병자호란 때 최현(崔晛)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킴. 남강서원(南岡書院)에 배향됨.
1581~166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
-
박진록(朴晉祿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제학(提學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공민왕 때에는 신돈(辛旽)을 반대하는 입장에 서고, 우왕 때에는 천도(遷都) 문제에 관여하였으며, 조준(趙浚)의 급진주의에 반대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진원(朴震元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서장관(書狀官)이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지냄.
1561~162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집(朴緝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이조 정랑(吏曹正郞)을 지낸 박조년(朴兆年)의 아들.
1499~152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찬(朴璨)@조선전기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대구 부사(大邱府使)ㆍ선산 부사(善山府使)를 역임함.
1470~153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찬(朴璨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숙부인 박경신(朴慶新)ㆍ박경인(朴慶因)과 함께 창의(倡義)하여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박창도(朴昌道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유학. 본관은 밀양(密陽).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고 통정대부(通政大夫)에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유학
-
박창윤(朴昌潤)
조선 숙종(肅宗)~경종(景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태안(泰安). 황해도 수군절도사(黃海道水軍節度使) 등을 지냄.
1658~172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박처륜(朴處綸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으로, 박사란(朴思襴)의 아들. 1470년(성종 1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ㆍ《예종실록(睿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, 홍문관 부제학(弘文館副提學)ㆍ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45~150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처선(朴處善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 박세말(朴世末)의 아버지로, 순창 훈도(淳昌訓導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천(博川)
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 태종(太宗) 때 이름을 박천(博川)으로 고치고, 세조(世祖) 때 일시 폐하였다가 복구함.
평안도>박천 , 지명>행정지명
-
박천강(博川江)
평안도 천마산(天馬山)에서 발원하여 청천강(淸川江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청천강의 가장 큰 지류로, 사행로이자 유람지임.
평안도>태천ㅣ평안도>박천 , 지명>자연지명
-
박천경(朴天卿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형인 송은(松隱) 박익(朴翊)과 함께 낙향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